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25

호이스트 작업 안전수칙 “크레인”이란 동력을 사용하여 중량물을 매달아 상하 및 좌우(수평 또는 선회를 말한다)로 운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계 또는 기계장치를 말하며, “호이스트(hoist)”란 훅이나 그 밖의 달기구 등을 사용하여 화물을 권상 및 횡행 또는 권상동작만을 하여 양중하는 것을 말한다. 호이스트 작업 안전수칙 호이스트(hoist)를 사용해 중량물을 운반할 때는 인양 중이던 중량물이 떨어져 맞거나, 훅에서 균형을 잃은 화물이 탈락해 떨어져 맞음, 호이스트 및 부속품이 손상 등으로 재해가 발생할 수 있어 작업 안전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관련 법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34조(방호장치의 조정) ① 사업주는 다음 각 호의 양중기에 과부하방지장치, 권과방지장치(捲過防止裝置), 비상정지장치 및 제동장치, .. 2024. 3. 4.
긴급차단밸브 설치 운전조건의 이상, 주위의 화재 또는 위험물질 등의 누출로 인한 2차적인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위험물질 및 관리대상 유해물질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긴급차단밸브 설치에 관하여 공유하고자 한다.   긴급차단밸브 설치관련 법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75조(긴급차단장치의 설치 등) ① 사업주는 특수화학설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상 상태의 발생에 따른 폭발ㆍ화재 또는 위험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재료 공급의 긴급차단, 제품 등의 방출, 불활성가스의 주입이나 냉각용수 등의 공급을 위하여 필요한 장치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② 제1항의 장치 등은 안전하고 정확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보수ㆍ유지되어야 한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435조(긴급 차단장치의 설치 등) ① 사업주는 관리대상 유해물.. 2024. 3. 3.
대전방지제 및 도전성 재료 도전성 재료는 주로 전류가 통과하는 데 저항을 제공하지 않는 것이 특징으로, 이는 재료의 전기적 및 물리적 특성 덕분에 가능하다. 대전방지제는 섬유나 수지의 표면에 흡습성과 이온성과 함께 도전성을 증가시키고 대전방지하는 것이며, 대전방지제에 주로 많이 이용되는 물질은 계면활성제이다. 대전방지제 및 도전성 재료 도전성 재료에 의한 대전방지 도전성 재료를 구조적으로 분류하면 분산계와 적층계가 있고, 대전방지방법으로 분류하면 누설에 의한 대전방지와 공기중 방전에 의한 대전방지로 나누어진다. 도전성 재료 1. 분산계 도전재료 도전원리는 입자상, 섬유상의 도전성 분산체가 직접 접촉에 의하여 전류가 흐르는 경우와 도전성 분산체의 직접 접촉이외의 절연박막간의 터널 효과에 의하여 전류가 흐르는 경우 두가지가 있다. (.. 2024. 3. 2.
정전기용 접지 및 본딩 방법 접지는 정전기의 방지대책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대책으로서 물체에 발생한 정전기를 대지로 누설, 완화시켜 물체에 정전기의 축적 또는 대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정전기용 접지 및 본딩 방법정전기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접지경로의 저항은 전하를 소멸시키기에 충분해야 한다. 1 ㏁ 이하의 저항은 일반적으로 충분하다고 보며, 본딩/접지 시스템이 모두 금속인 곳에서의 접지경로 저항은 일반적으로 10 Ω 이하이다.   정전기 접지 vs. 전원 접지전기를 사용하는 모든 기기는 전원접지가 되어야 하며 계측기와 접지간의 전위차이는 10 V이하 또는 1 Ω 이하가 되어야 한다.따라서, 접지는 설비 및 인체의 정전기를 흘러 보내기 없애기 위한 통로로써 모든 도체는 접지를 시켜야 하며, 또한, 다음 그림과 같이 전.. 2024. 3. 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