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25 누출위치, 누출공, 누출시간 선정된 사고시나리오에서 누출량의 구체화를 위해 누출위치, 누출공, 누출시간 등을 선정하는 방법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누출위치, 누출공, 누출시간 사고시나리오 영향범위 산출 시 누출량 산정에 관한 내용은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 https://sec-9070.tistory.com/312 누출량 산정 사고시나리오 영향범위 산출 시 누출량 산정에 관한 것을 다음과 같이 공유하고자 한다. 누출량 산정 누출량 산정의 일반사항 시나리오 누출량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산정한다. 1) 사고시나 sec-9070.tistory.com 누출위치의 결정 (1) 화학설비에서 가장 많이 누출되는 지점은 다음과 같다. ① 입․출입 배관 부위의 누출 ② 용기의 부식(혹은 외부충격)에 의한 누출 ③ 펌프씰(Seal) 파.. 2024. 3. 25. 납땜(soldering) 납땜(soldering)은 땜납(solder)이라고 하는 금속을 사용하여 두 개의 금속 표면을 기계적으로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금속의 납(鉛, lead)과 혼동하지 말고 용어를 사용하여야 한다) 납땜(soldering) 용접(welding) vs. 납땜(soldering) 두 금속을 결합한다는 의미에서 어느정도 공통점이 있지만 '결합방법'에 있어서 확실하게 차이가 있다. 즉, 기본금속을 녹이느냐 안녹이느냐에 따라 구분한다. 열을 가해, 두 기본금속을 녹여 결합하는 것이 용접이고, 기본금속을 녹이지않고 결합한다면 납땜이라고 쉽게 말할 수 있다. 용접(welding)은 모재(기본금속) 용융점 이상인 3,000~6,000 ℃의 고온에서 진행하고, 반면에, 납땜(soldering)은 융점이 450℃ 이.. 2024. 3. 24. 호흡보호구의 할당보호계수 활용 “보호계수(Protection Factor, PF)”라 함은 호흡보호구 바깥쪽에서의 공기중오염물질 농도와 안쪽에서의 오염물질 농도비로 착용자 보호의 정도를 나타내는척도를 말한다. 호흡보호구의 할당보호계수 활용 “할당보호계수(Assigned Protection Factor, APF)”란 잘 훈련된 착용자가보호구를 착용했을 때 각 호흡보호구가 제공할 수 있는 보호계수의 기대치를 말한다. 호흡보호구의 할당보호계수 호흡보호구의 할당보호계수는 와 같다. 호흡보호구별 할당보호계수 할당보호계수는 오염물질을제거할 수 있는 정화통이 개발된 경우에 적용하여야 하며 정화통이 개발되지 않은 물질에 대해서는 그 농도에 관계없이 송기마스크 등 양압의 공기공급식 마스크를 착용하여야 한다. 할당보호계수의 활용 “유해비.. 2024. 3. 23. 호흡보호구 종류 호흡보호구라 함은 산소결핍공기의 흡입으로 인한 건강장해예방 또는 유해물질로 오염된 공기 등을 흡입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건강장해를 예방하기위한 보호구를 말한다. 호흡보호구 종류 기능 및 안면부 형태에 따른 호흡보호구 분류 • “방독마스크”라 함은 흡입공기 중 가스․증기상 유해물질을 막아주기 위해 착용하는 호흡보호구를 말한다. • “방진마스크”라 함은 흡입공기 중 입자상(분진, 흄, 미스트 등) 유해물질을 막아주기 위해 착용하는 호흡보호구를 말한다. • “송기식 마스크”라 함은 작업장이 아닌 장소의 공기를 호스 등을 통하여 공급하여 흡입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호흡보호구를 말한다. • “자급식 마스크”란 착용자의 몸에 지닌 압력공기실린더, 압력산소실린더 또는 산소발생장치가 작동되어 호흡용 공기가 공급되도록.. 2024. 3. 23. 이전 1 ··· 55 56 57 58 59 60 61 ··· 38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