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25

유해·화학물질 사용 안전수칙 작업장 내 가연성 가스 또는 액체를 생산, 취급, 저장을 하면서 이들의 가스, 증기 또는 미스트가 생성된다면 언제나 폭발·화재 위험은 존재한다. 폭발·화재를 방지하려면 폭발성 혼합물이 조성될 수 없도록 하거나 점화원을 제거, 불활성화, 환기 등으로 방지 대책을 세워 대비해야 한다. 유해·화학물질 사용 안전수칙 유해・위험물질 관리방법 - 사업장에서 취급하고 있는 화학물질의 목록을 정리한다. - 목록에 있는 화학물질별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비치 혹은 게시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 목록에 있는 화학물질별 용기 및 포장에 경고표지가 부착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작업공정별로 관리 요령을 게시한다. -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한다. 화학물질 폭발·화재의 현상.. 2024. 4. 9.
위험물질 취급 시 주의사항 가연물이 혼합된 공기가 점화원과 접촉하는 순간 폭발과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자기반응성 물질, 유기과산화물은 온도와 마찰 등에 폭발적으로 반응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하며, 자연발화성 액체와 고체, 자기발열성 물질, 물반응성 물질 등 사용하는 물질의 위험을 숙지하고 안전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사고를 막을 수 있다. 위험물질 취급 시 주의사항 작업 전 가연물과 점화원 관리 가연물은 불에 잘 타거나 그러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물건이나 물질을 말한다. -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는 가연물은 휘발유 등 유류, LPG, 도시가스, 세척용제, 수소, 아세틸렌, 알코올류, 시너 등 유기용제 등이 있다. ● 가연물은 산소와 함께 불꽃, 정전기, 충격 및 마찰, 전기 스파크 등의 점화원과 결합하면 폭발 및 화재가 발생할 .. 2024. 4. 9.
불활성가스 치환 계산 사례 불활성가스 (Inerting gas) 치환(Purging) 방법에 여러 봉류가 있는데 각 방법에 대한 불활성화 횟수 및 불활성가스량 산정 등 계산 시례를 공유하고자 한다. 불활성가스 치환 계산 사례 불활성가스 치환에 대한 불활성화 제어농도, 최소산소농도 산정, 각 치환방법에 대해 불활성화 횟수 및 불활성가스량 산정 등 이론적 내용은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 https://sec-9070.tistory.com/1328 불활성가스 치환 화학설비의 점검·정비시 화재·폭발을 예방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불활성가스 (Inerting gas) 치환(Purging)에 관한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불활성가스 치환 용어의 정의 “불활성화 (Inerting)”라 함 sec-9070.tistory.com 최소산소농도.. 2024. 4. 7.
불활성가스 치환 화학설비의 점검·정비시 화재·폭발을 예방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불활성가스 (Inerting gas) 치환(Purging)에 관한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불활성가스 치환 용어의 정의 “불활성화 (Inerting)”라 함은 산소농도를 안전한 농도로 낮추기 위하여 불활성가스를 용기에 주입하는 것을 말한다. “치환(Purging)”이라 함은 인화성가스 또는 증기에 불활성가스를 주입하여 산소의 농도를 최소산소농도(MOC) 이하로 낮게 하는 작업을 통하여 제한된 공간에서 화염이 전파되지 않도록 유지된 상태를 말하며 불활성가스로는 질소,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등이 있다. “최소산소농도 (Minimum oxygen concentration, MOC)”라 함은 인화성 혼합가스 내에 화염이 전파될 수 있는 최소한의 산소농.. 2024. 4.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