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학 기술512 포화 혼합물의 상태량 계산 포화 혼합물의 상태량 계산 사례를 통해 상태량 표(열역학 성질표) 활용법 등을 이해하고자 한다. 포화 혼합물의 상태량 계산 상태량에 대한 기본 이론은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 https://sec-9070.tistory.com/523 상태량 표(열역학 성질표) 열역학적 상태량 사이의 관계를 구성하는 방정식은 복잡하기 때문에 상태량을 table의 형태로 표기하여 활용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많이 활용하는 Table이 Steam tables(수증기표)이다. 상태량 표(열 sec-9070.tistory.com 1. 포화 혼합물의 압력과 체적 과제 : 견고한 용기 내에 90℃의 물 10 kg이 들어 있다. 물의 8kg은 액체이고, 나머지는 증기라고 하면, (a) 용기 내의 압력과 (b) 용기의 체적을 얼.. 2021. 12. 3. 상태량 표(열역학 성질표) 열역학적 상태량 사이의 관계를 구성하는 방정식은 복잡하기 때문에 상태량을 table의 형태로 표기하여 활용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많이 활용하는 Table이 Steam tables(수증기표)이다. 상태량 표(열역학 성질표) 물질별로 열역학 성질표는 많이 존재하고, 일반적으로 형식은 동일하다. 수증기표(Steam tables) 물, 수증기가 열역학표를 설명하는 수단이자, 수증기가 열역학적 기관에 널리 쓰인다. 수증기표는 5개의 표로 구성 ① Table B.1.1 : saturated water-temperature table (포화액체, 포화증기-온도기준 수증기표) Table B.1.2 : saturated water-pressure table(포화액체, 포화증기-압력기준 수증기표) ② Table B.1.3.. 2021. 12. 3. 상변화 과정에 대한 상태량 선도 상태량 선도란 순수물질의 상변화에 대한 압력, 온도, 비체적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을 의미한다. 상변화 과정에 대한 상태량 선도 T-v 선도 ◆ 피스톤-실린더 장치에 있어 압력변화에 따른 변화를 관찰함 다음 그림은 온도(T)와 비체적(v, 혹은 체적)과의 관계를 나타낸 T-v선도 (온도-비체적 선도)이다. T-v 선도 (온도-비체적 선도) 상기 그림에서 보듯이 T-v 선도에서 포화증기선과 포화액체선을 볼 수 있다. - 포화액체선 saturated liquid line : 포화액 상태를 연결한 선 - 포화증기선 saturated vapor line : 포화증기 상태를 연결한 선 ⇒ 액체가 가열되어서 포화온도까지 상승 → 포화액체상태를 거쳐 액체와 기체가 동시에 존재 → 포화증기상태에 이른 후 → 과열증기.. 2021. 12. 1. 순수 물질의 상변화 과정 순수물질의 상변화는 뚜렷하고 일정하며 열역학에서는 비체적의 변화가 가장 큰 액체와 기체 사이에서의 상변화에 관점을 두고 있다. 순수 물질의 상변화 과정 상변화 관계 상변화 관계 ◇ 기화(Vaporization) 종류 ▶ 증발(Evaporation) : 끓는점 아래에서 표면 기화(100℃ 미만에서 물의 증발) ▶ 비등(Boiling) : 끓는점 이상에서 액체 전체 기화(100℃ 이상에서 물의 비등) ▶ 승화(Sublimation) : 고체상태의 기화(상온 상압 드라이아이스 승화) ▶ 플래쉬(Flash) : 포화액체의 압력이 낮아져 순간적인 기화 (기화 후 포화상태의 온도 낮아짐) 순수물질의 상변화 과정(일정 압력) 20℃, 1기압의 액체 물이 들어 있는 피스톤과 실린더 시스템의 가열에 따른 상태변화는 다음.. 2021. 11. 30. 이전 1 ··· 86 87 88 89 90 91 92 ··· 128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