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학 기술512 열역학 과정 열역학 과정이란 열역학 제1법칙에 따라 기체가 외부의 환경에 영향을 받으면서 그 상태가 변화하는 과정이다. 열역학 과정 열역학 제1법칙을 다음과 같은 간단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ΔU=Q−W · Q는 기체가 받은 열량이다. · U는 내부 에너지로, 어떤 기체의 분자들이 가진 운동 에너지의 총합이다. 이때 U∝T (T:온도)인 관계가 성립한다. * 따라서 ΔU는 내부 에너지 변화량 · W는 기체가 (외부에) 한 일의 양이며, W∝V인 관계가 성립한다. 이때 열역학 제1법칙에 따라 어떤 기체가 가진 열량은 그 물질의 내부 에너지와 그 기체가 한 일의 양의 합과 같다. 열역학 제1법칙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은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 https://sec-9070.tistory.com/562 열역학.. 2021. 12. 18. 열역학 제1법칙 열역학 제1법칙(first law of thermodynamics)은 보다 일반화된 에너지 보존의 법칙으로 표현으로, "어떤 계의 내부 에너지의 증가량은 계에 더해진 열에너지에서 계가 외부에 해준 일을 뺀 양과 같다."이다. 열역학 제1법칙 경계조건에 따른 '계(system)'의 종류 '계(system)'는 우리가 특별하게 관심을 갖는 우주의 한 부분으로 반응 용기일 수도 있고, 엔진 속이거나 화학 전지 또는 세포 등일 수 있다. 우주에서 계를 뺀 나머지를 '주변(surroundings)'라고 하며, 이는 '경계조건(boundary)'이라는 용어로 나누고 있다. 따라서 ‘계’라는 것은 ‘경계 조건’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주변과 어떤 관계에 있느냐에 따라서 나뉘어진다는 것이다. - 고립계(.. 2021. 12. 18. 릴리프 개념 릴리프 밸브란 시스템 내의 압력을 제한하기 위한 밸브이다. 특정 압력 이상이되면 유로를 개방하여 압력을 경감시키고 특정압력에서 자동으로 다시 닫히게 된다. 릴리프 개념 화학공장의 안전대책 화학 공장 내의 많은 안전 예방 조치에도 불구하고, 장비 고장 또는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공정 압력이 안전 수준을 초과할 수 있다. 만약 압력이 아주 높아 져서 공정내의 배관과 용기가 허용할 수 있는 최대 강도를 초과하게 되면, 공정설비들은 파열되어 독성 또는 인화성 화학 물질이 크게 방출될 수 있다. 이런 유형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첫 번째 방어대책은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장소에서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다. 이를 근원적 안전(inherent safety)이라 한다. 두 번째 방어대책은 더 나은 공정 제어로서, .. 2021. 12. 16. 화학공장의 접지 접지(接地) 또는 그라운드, 어스(ground, earth)는 전기 회로나 전기 기기 따위를 도체로 땅에 연결하는 것을 말한다. 이상 전압 발생시에도 고장 전류를 표면 전위가 영전위인 대지로 흘려보내, 같은 전위로 유지하여 기기와 인체를 보호한다. 지락(地絡)이라고도 부른다. 화학공장의 접지위험물의 가연성 가스가 체류하고 있는 화학공장에서 위험물 취급시 폭발 대책으로는 전기설비의 방폭 기기 사용이 절대적 이다. 방폭 기기와 함께 기기 접지는 불안전한 전하 불평형 상태에서의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흘려보낸다. 그리고 민감한 누설전류를 감지 차단할 수 있는 차단기 및 퓨즈 사용은 화학공장에서 여러 가지 위험요소를 경감 시킬 수 있는 주된 방법이다. 접지 개요⊙ 부적절한 접지 설계로 인한 중대 산업사고 중.. 2021. 12. 15. 이전 1 ··· 83 84 85 86 87 88 89 ··· 128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