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 기술512

정압비열 vs. 정적비열 비열용량(比熱容量, Specific heat capacity) 또는 비열은 단위 질량의 물질 온도를 1도 높이는 데 드는 열에너지를 말한다. 비열(Specific heat)이라는 용어는 특정 온도에서 물질의 비열 용량과 기준 온도에서 기준 물질의 비열 용량(예: 15 °C에서의 물) 사이의 비율을 나타낼 수도 있다. 정압비열 vs. 정적비열 비열은 물질의 종류에 따라서 결정되는 상수이며, 밀도, 저항률 등과 같이 물질의 성질을 서술하는 데 중요한 물리량이다.1g의 물의 온도를 1°C만큼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은 1cal이므로 물의 비열은 1이 된다. 그러나 비열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단위를 갖는 양이다. 1g을 1°C 올리는 데 필요한 칼로리수가 비열이므로 비열의 단위는 cal/g·°C이다. 따라서 정.. 2021. 12. 5.
과열증기 등 상태량 계산 과열증기의 상태량 계산 사례를 통해 상태량 표(열역학 성질표) 활용법 등을 이해하고자 한다. 과열증기 등 상태량 계산 상태량에 대한 기본 이론은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 https://sec-9070.tistory.com/523 상태량 표(열역학 성질표) 열역학적 상태량 사이의 관계를 구성하는 방정식은 복잡하기 때문에 상태량을 table의 형태로 표기하여 활용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많이 활용하는 Table이 Steam tables(수증기표)이다. 상태량 표(열 sec-9070.tistory.com 1. 과열증기의 압력과 체적 과제 : 물이 1 ㎥/kg의 비체적을 가질 때 300 kPa 압력에서의 건도와 온도는 얼마일까? Given : V = 1 ㎥/kg, P = 300 kPa Find : (a).. 2021. 12. 4.
이상기체 vs. 실제기체 기체의 운동 분자 이론은 기체 분자가 차지하는 부피와 분자 사이의 모든 상호작용을 무시한다는 가정에서 출발하고 있어, 실제로는 모든 기체는 0이 아닌 분자량을 가지고 있고, 또한, 실제 가스의 분자들은 분자의 구조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실제기체와 차이가 있어 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상기체 vs. 실제기체 이상기체 (Ideal gas) 이상기체는 다음의 성질을 만족한다고 가정한다. 1. 기체는 원자 또는 분자라는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2. 무작위적인 운동, 즉 방향이 정해지지 않은 운동을 하며, Newton의 운동법칙을 따른다. 3. 각 입자의 총 부피는 기체 전체가 차지하는 부피에 비해서 무시할 수 있다. 즉, 기체 입자는 점질량이다. 4. 충동하는 시간을 제외하면, 분자에 작용하는 힘은 무.. 2021. 12. 3.
수증기 비체적 계산 수증기 비체적 계산 수증기는 이상기체인가? 1. Water vapor를 이상기체로 판별할 수 있는 백분율error 2. Ideal gas로 취급할 수 있는 영역 : 수증기압력(10kPa이하)이 매우 낮은 저압에서 온도에 관계없이 가능 ex) 공기조화기 Air-conditioning application 3. Ideal gas로 취급할 수 없는 영역 : 수증기압력이 10kPa이상일 경우(특히 Critical point 근처, 포화증기선 부근에서 오차가 큼) ⇒ 이상기체 관계식 사용 불가능 ex) 증기원동기 Steam power plant 수증기 비체적 계산 과제 : 다음의 두 상태에서 수증기의 비체적을 이상기체상태방정식을 이용하여 계산하고 Table의 비체적으로 검증하라. (1) P = 100 kPa, T.. 2021. 12.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