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학 기술512 TNT 당량 및 과압 계산 사례 TNT 당량이란 어떤 물질이 폭발할 때 내는 에너지와 동일한 에너지를 내는 TNT 중량(kg)을 말한다. 그리고 정해진 거리에서 TNT 당량에 상당하는 물질이 폭발할 때의 과압은 정해진 식 및 그래프에 의해 구할 수 있고 이 때의 손상 정도도 추정할 수 있다. TNT 당량 및 과압 계산 사례 TNT 등가성(TNT Equivalency)으로 부터 해당 물질의 TNT 당량을 계산하면 된다. 이에 대한 내용은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하라. https://sec-9070.tistory.com/572 TNT 등가성(Equivalency) TNT 당량이란 어떤 물질이 폭발할 때 내는 에너지와 동일한 에너지를 내는 TNT 중량(kg)을 말한다. TNT 등가성(TNT Equivalency) TNT 등가성은 가.. 2021. 12. 28. TNT 등가성(Equivalency) TNT 당량이란 어떤 물질이 폭발할 때 내는 에너지와 동일한 에너지를 내는 TNT 중량(kg)을 말한다. TNT 등가성(TNT Equivalency) TNT 등가성은 가연성 연료의 알려진 에너지가 TNT의 동등한 질량과 동일하다고 가정하는 간단한 방법이다. 즉, 이 접근방식은 폭발하는 연료 질량이 폭발하는 TNT와 동등한 에너지를 가진다는 가정에 기초로 하고 있다. TNT 당량 TNT의 등가 질량(당량)은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사용하여 추정한다. (1) mTNT = the equivalent mass of TNT (mass), η = the empirical explosion efficiency (unitless), m = the mass of hydrocarbon (mass), ΔHc = the ene.. 2021. 12. 28. 과압으로 인한 폭풍 피해(Blast Damage) 과압(overpressure)으로 인해 피해가 발생하는데 대부분의 피해를 입히는 것은 폭풍파(blast wave)이다. 과압으로 인한 폭풍 피해(Blast Damage) 분진(dust)나 가스의 폭발은 (폭연 또는 폭굉으로서) 충격파(shock wave)나 압력파면(pressure front)에 의하여 점화원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반응면(reaction front)이 이동하게 된다. 가연성 물질이 연소하여 소모된 후에는 반응(반응면)은 종료되지만 압력파(pressure wave)는 바깥쪽으로 계속 움직인다. 폭풍파(blast wave)는 압력파와 그에 뒤따르는 바람으로 구성된다. 대부분의 피해를 입히는 것은 폭풍파이다. 압력파, 폭발파, 충격파에 대한 세부 내용은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 https.. 2021. 12. 28. 릴리프 형태 결정 릴리프 시스템(relief system)은 수동, 제어된 수단, 자동으로 가압 용기 또는 배관 시스템에서 대기 중으로 가스 등을 배출하여 최대 허용 작업 압력(MAWP)을 초과하는 압력을 방출하기 위한 비상 시스템이다. 릴리프 형태 결정 릴리프장치의 구체적인 형태(type)는 액체, 가스, 액체와 가스, 고체 및 부식성 물질 등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fl릴리프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물질들은 대기로 직접 배출되거나 릴리프 헤더를 통하여 격납(containment) 시스템(스크러버, 플레어 스택, 응축기, 소각로 등)으로 배출된다. 릴리프장치의 유형은 방출된 유체의 릴리프시스템, 공정 조건 및 유체의 물리적 특성 등의 세부적 사항들에 기초하여 구체화된다. 그림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리프장치에는 .. 2021. 12. 27. 이전 1 ··· 81 82 83 84 85 86 87 ··· 128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