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 기술/공학기본125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 압력, 부피, 온도 변화에 따른 기체의 상태를 이상 기체 방정식으로 완전히 설명할 수 있는 가상적인 기체를 이상기체라 하고 보일 법칙, 샤를 법칙, 아보가드로 법칙을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식으로 나타낸 것을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이라 한다.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이상 기체 법칙보일 법칙, 샤를 법칙, 아보가드로 법칙을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 보일-샤를의 법칙에 의하여 일정량의 기체의 PV/T = k의 값은 일정하다.(k는 기체상수 R로 표시하기도 한다.)압력을 1atm, 온도를 ℃(273K)라 하면 1mol의 기체는 22.4ℓ의 체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식에 대입하면 k의 값이 구해진다.  PV = RT (기체 1mol의 관계식) 또한, n mol의 .. 2021. 2. 20.
온도(Temperature)와 압력(Pressure) 화학공정에서 온도와 압력은 공정의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공정 변수이다. 공정 내에서 조업 중인 물질의 온도와 압력을 알면 물질의 상태(기체, 액체, 고체)를 알 수 있으며 공정 조작이 필요한 시기를 예측할 수 있다. 온도(Temperature)와 압력(Pressure) 온도(Temperature)는 물질의 덥고 찬 정도를 나타낸 척도로서 ℃, ℉, K, °R 등 다양한 단위가 있다. 우리에게 친숙한 섭씨온도(℃)는 물의 어는점을 0℃로 놓고 물의 어는점과 끓는점 사이를 100칸으로 나누어 나타낸 온도이다. 화렌하이트(Fahrenheit)가 제안한 화씨온도(℉)에서 물의 어는점은 32℉이며 섭씨온도가 1℃씩 오를 때 화씨온도는 1.8℉ 씩 올라간다. 또한, 0°R는 0K와 같으며, 1°R의 간격은 1℉와.. 2021. 2. 2.
몰(Mole) 과 농도(Concentration) 관계 화학반응식은 원자 단위를 기본으로 세우지만 실제로 원자 단위의 양은 너무 미세하여 실험실이나 공정에서 다루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반응물과 생성물을 g 또는 kg 등의 단위로 다루기 위해 몰 단위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화학 반응에서 산과 같은 반응물을 첨가할 때에는 적정 농도로 반응을 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사용되는 농도가 몰 농도(Molarity), 몰랄 농도(Molality) 및 노르말 농도(Normality)이다. 몰(Mole) 과 농도(Concentration) 관계 몰(Mole)은 원자 또는 분자를 6×10^23개 모아 원자질량단위를 g으로 승격시킨 물질의 양 단위로 g몰(g-mole), kg몰(kg-mole), lb몰(lb-mole) 등의 단위를 사용한다 화학 공정에서 유입되거.. 2021. 2. 2.
일, 에너지, 일률(동력) 개념 산업현장에서 여러 물리량들이 사용된다. 그중에서 일, 에너지, 열, 일률, 동력, 토크에 대한 개념과 그들의 단위에 대해 살펴보고 공유하고자 한다. 일, 에너지, 일률(동력) 개념 일(Work)은 물리학에서 물체에 일정한 힘을 가했을 때 힘이 가해진 방향으로 움직인 거리(Distance)를 뜻한다. W = F•d 여기에서, W: 일, F: 힘, d: 힘의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 또한 일-에너지 이론에 의하면 일은 작용을 통해 힘에 의해 변환된 에너지의 총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렇게 정의할 때 일은 다음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일(W)의 SI 유도 단위는 1 뉴턴(N)의 힘이 1 미터(m)의 거리를 이동하게 하는 일로 정의한, 줄(J)이다. J = N•m 에너지(Energy)는 운동량(Momentum.. 2021. 2. 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