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 기술/공학기본125

에너지열량 환산기준 에너지 관련 시책 등의 수립ㆍ시행을 위하여 국내외 에너지 수급에 관한 통계를 작성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에너지열량 환산기준을 에너지원별 수급여건 및 특성을 반영하여 조정하려는 것임. 에너지열량 환산기준 관련 법규 에너지법 시행령 제15조(에너지 관련 통계 및 에너지 총조사) ① 법 제19조제1항에 따라 에너지 수급에 관한 통계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에너지열량 환산기준을 적용하여야 한다. 에너지법 시행규칙 제5조(에너지열량 환산기준) ① 영 제15조제1항에 따른 에너지열량 환산기준은 별표와 같다. 열사용기자재 열사용기자재란 연료 및 열을 사용하는 기기, 축열식 전기기기와 단열성(斷熱性) 자재로서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시행규칙 제1조의2(열사용기.. 2021. 6. 2.
ppm 사용 방법 백만분율은 수를 1,000,000과의 비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ppm(parts per million)이라는 기호를 사용한다. ppm은 백만분의 1이라는 뜻이며, 고체시료의 농도를 나타낼 경우 용액 1 kg에 들어있는 용질의 mg 수(또는 mg/kg)를 나타내며, 액체 시료의 경우 용액의 밀도가 대부분 1kg/L라고 하며 1L에 들어있는 용질의 mg 수를 나타내기도 한다. ppm값을 10,000으로 나누면 %(백분율)로 단위를 변환할 수 있다. 주로 대기나 해수, 지각 등에 존재하는 미량 성분의 농도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 ppm 사용 방법 공기(air)에서의 부피 또는 몰 단위의 ppm 기체에 적용된 대기 오염 문헌에서 ppm은 항상 부피(volume) 또는 몰(mole) 단위로 백만분의 1을 의미한다.. 2021. 4. 20.
송풍기 압력 변화 송풍기에 의해 생긴 기계적 에너지가 공기에 어떻게 전달하고 형성되는 압력 분포는 어떻게 되는가? 송풍기(Fan, Blower 등) 압력 변화 공기는 “압력”의 차이에 따라 흐른다. 따라서 인위적으로 유체흐름을 얻기위해서 송풍기 등을 이용해 강제환기를 하는데 이 때 압력의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다음 그립과 같이 송풍기 앞의 후드와 덕트에서 항상 대기압보다 낮은 음압 상태가 된다. 덕트내에서의 압력의 종류 ■ 동압 혹은 속도압(Velocity Pressure, VP) ■ 정압(Static Pressure, SP) ■ 전압(TP) = 속도압(VP) + 정압(SP) 잠재에너지(Potential energy)를 운동에너지라는 속도압으로 변환하여 오염된 공기가 흐르게 하는 것이 산업환기의 기본.. 2021. 4. 14.
표준상태조건, 표준조건(STP), 정상조건(NTP), SATP, ISA 요약 화학적 및 물리적 공정의 문서화 및 시험 시 온도 및 압력 (temperature & pressure)의 표준 기준 조건 (standard reference conditions)에 대한 다양한 정의가 있다. 따라서 사용된 실제 정의의 기준 온도 (reference temperature)와 기준 압력 (reference pressure)을 아는 것은 항상 중요하고, 또한 이러한 기준들은 기체의 부피를 정하는 base가 되기 때문에 확실히 할 필요가 있다. 이들을 이해하기 위해 기존에 2회에 걸쳐 포스팅을 하였는데 다음 링크를 참조하면 된다. sec-9070.tistory.com/45 표준조건(Standard Conditions) vs. 정상조건(Normal Conditions) 화학적 및 물리적 공정의 문.. 2021. 4. 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