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 기술/공학기본125

세척작업 전, 후 불활성화 방안 일반적으로 인화성 액체를 사용하여 제품을 만들어 내는 회분식 반응 공정에서는 화재·폭발이 상존하여 그 대책이 요구된다. 금번에는 인화성 액체의 세척작업 전, 후 상시적 불활성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세척작업 전, 후 불활성화 방안 회분식 반응기의 안전대책 제약, 도료, 수지를 생산하기 위한 회분식 공정에서는 인화성 액체를 사용하여 여러 단계의 반응과정을 거친 후 다른 성질의 물질(또는 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이때 운전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BPCS (Basic Process Control System) 및 ESD (Emergency Shutdown System)를 갖추고 있다. 또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을 통해 발열반응이 일어나는 반응기의 경우 압력계 등 Loca.. 2021. 8. 12.
폭발의 분류 폭발은 과(過)충전에 의한 용기파열과 같은 물리적 폭발과 급격한 화학반응에 의한 화학적 폭발로 구분할 수 있으며, 화학적 폭발은 반응형태에 따라 균일반응과 전파반응으로 구분된다. 또한 원인물질에 따라 가스폭발, 분진폭발 또는 고체폭발 등으로 나뉘기도 한다. 한편 충격파의 전파속도가 음파(공기 중 330m/s)보다 빠른 경우의 폭굉과 음파보다 느린 경우의 폭연으로 구분한다. 폭발의 분류 폭발(Explosion)은 연소의 일종으로 에너지 발생속도가 빠른 것을 의미하며, 화학반응 또는 상 변화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여 압력이 급격히 상승한 후 이 압력이 방출되는 현상을 말한다. 압력파, 폭발파, 충격파 만약 기체 상태에서 폭발이 일어난다면, 그 에너지는 가스가 빠르게 팽창하도록 하여, 주변 가스를 밀어내고, 폭.. 2021. 7. 15.
최소산소농도와 불활성화 방법 최소산소농도(Limiting oxygen concentration, LOC 또는 Minimum oxygen concentration, MOC)이란 가연성 혼합가스 내에 화염이 전파될 수 있는 최소한의 산소농도를 말한다. 최소산소농도와 불활성화 방법 공기 중에 가연성가스는 일정범위 이내로 함유되었을 경우에만 연소가 가능하며, 이것은 물질의 고유한 특성으로서 연소범위 또는 폭발범위라고 하고 이는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자료를 참조하라. https://sec-9070.tistory.com/19 폭발한계(인화한계) 와 농도 변환 화재나 폭발이 일어나기 위해서 세 가지 조건을 동시에 충족시켜야 한다. 이들을 연소의 3요소라 하며, 연료(가연성 가스)와 산소(공기)는 스파크나 불꽃과 같은 점화원과 함께 일정한 비율로.. 2021. 7. 15.
펌프의 허용유효양정 양정(揚程)은 펌프가 물을 끌어올리는 높이를 의미한다. 펌프에는 흡입측과 토출이 있다. 양정은 펌프의 토출에서 밀어올릴 수 있는 높이를 의미하며, 보통 5키로 라고 하면 50m 높이까지 물을 밀어올릴 수 있는 것이며, 흡입 양정은 펌프 흡입쪽에서 끌어올릴 수 있는 높이다. 펌프의 허용유효양정 유효흡입양정(NPSH: Net Positive Suction Head) 개요 유효흡입양정(NPSH: Net Positive Suction Head)은 펌프의 공동화현상(cavitaion)의 발생 가능성을 점검하는 척도이다. NPSHr (required)는 펌프의 제작자에 의해 결정되며, 동일 사양의 펌프라도 제작자 또는 설계자에 의해 다를 수 있다. 계산에 의해서도 구할 수 있으나, 실험에 의해 구하는 방법이 더 정.. 2021. 7.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