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학 기술/공학기본125 정압비열 vs. 정적비열 비열용량(比熱容量, Specific heat capacity) 또는 비열은 단위 질량의 물질 온도를 1도 높이는 데 드는 열에너지를 말한다. 비열(Specific heat)이라는 용어는 특정 온도에서 물질의 비열 용량과 기준 온도에서 기준 물질의 비열 용량(예: 15 °C에서의 물) 사이의 비율을 나타낼 수도 있다. 정압비열 vs. 정적비열 비열은 물질의 종류에 따라서 결정되는 상수이며, 밀도, 저항률 등과 같이 물질의 성질을 서술하는 데 중요한 물리량이다.1g의 물의 온도를 1°C만큼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은 1cal이므로 물의 비열은 1이 된다. 그러나 비열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단위를 갖는 양이다. 1g을 1°C 올리는 데 필요한 칼로리수가 비열이므로 비열의 단위는 cal/g·°C이다. 따라서 정.. 2021. 12. 5. 이상기체 vs. 실제기체 기체의 운동 분자 이론은 기체 분자가 차지하는 부피와 분자 사이의 모든 상호작용을 무시한다는 가정에서 출발하고 있어, 실제로는 모든 기체는 0이 아닌 분자량을 가지고 있고, 또한, 실제 가스의 분자들은 분자의 구조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실제기체와 차이가 있어 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상기체 vs. 실제기체 이상기체 (Ideal gas) 이상기체는 다음의 성질을 만족한다고 가정한다. 1. 기체는 원자 또는 분자라는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2. 무작위적인 운동, 즉 방향이 정해지지 않은 운동을 하며, Newton의 운동법칙을 따른다. 3. 각 입자의 총 부피는 기체 전체가 차지하는 부피에 비해서 무시할 수 있다. 즉, 기체 입자는 점질량이다. 4. 충동하는 시간을 제외하면, 분자에 작용하는 힘은 무.. 2021. 12. 3. 상태량 표(열역학 성질표) 열역학적 상태량 사이의 관계를 구성하는 방정식은 복잡하기 때문에 상태량을 table의 형태로 표기하여 활용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많이 활용하는 Table이 Steam tables(수증기표)이다. 상태량 표(열역학 성질표) 물질별로 열역학 성질표는 많이 존재하고, 일반적으로 형식은 동일하다. 수증기표(Steam tables) 물, 수증기가 열역학표를 설명하는 수단이자, 수증기가 열역학적 기관에 널리 쓰인다. 수증기표는 5개의 표로 구성 ① Table B.1.1 : saturated water-temperature table (포화액체, 포화증기-온도기준 수증기표) Table B.1.2 : saturated water-pressure table(포화액체, 포화증기-압력기준 수증기표) ② Table B.1.3.. 2021. 12. 3. 상변화 과정에 대한 상태량 선도 상태량 선도란 순수물질의 상변화에 대한 압력, 온도, 비체적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을 의미한다. 상변화 과정에 대한 상태량 선도 T-v 선도 ◆ 피스톤-실린더 장치에 있어 압력변화에 따른 변화를 관찰함 다음 그림은 온도(T)와 비체적(v, 혹은 체적)과의 관계를 나타낸 T-v선도 (온도-비체적 선도)이다. T-v 선도 (온도-비체적 선도) 상기 그림에서 보듯이 T-v 선도에서 포화증기선과 포화액체선을 볼 수 있다. - 포화액체선 saturated liquid line : 포화액 상태를 연결한 선 - 포화증기선 saturated vapor line : 포화증기 상태를 연결한 선 ⇒ 액체가 가열되어서 포화온도까지 상승 → 포화액체상태를 거쳐 액체와 기체가 동시에 존재 → 포화증기상태에 이른 후 → 과열증기.. 2021. 12. 1.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3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