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345

진공의 위험 요소(Vacuum Safety) 진공 기술을 사용할 때 고려해야 하거나 진공 장비 주변에 상존하고 있는 위험 요소들에 대해서 공유하고자 한다. 본 내용은 Vacuum Magazine에 주장헌 박사가 기고한 내용이다. 진공의 위험 요소(Vacuum Safety) 진공 장비 주변에 상존하고 있는 위험 요소들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진공 위험성(Vacuum hazard) ● 과압 위험성(Over-pressure hazard) ● 전기 충격 위험성(Electrical shock hazard) ● 냉각수/냉각제 위험성(Cooling water/coolant hazard) ● 화학물질 위험성(Chemical hazard) ● 공정이 진공 펌프에 미치는 영향 및 그 위험성 ● 기계적 위험성(Mechanical hazard) 여기서는 진공 .. 2023. 9. 24.
Motor 기동 방식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도전동기의 기동방식은 부하의 종류, 특성, 용량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도록 한다. 모터 기동방식(Starting Method)에는 직입(전전압) 기동, Y-△(Star - Delta) 기동, 리액터(Reactor) 기동, 소프트스타트(Soft starter) 기동, 인버터(Inverter) 기동 등이 있고 이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Motor 기동 방식 모터 기동방식 개요 모터 기동방식은 크게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구분하게 되며, 전원전압을 최대로 인가하는 직입기동 방식과 기동전류를 낮추기 위하여 다른 결선이나 전기소자를 이용하여 전압을 감압하여 인가하는 방법이 있다. 모터 기동방법은 직입기동, Y-△, 리액터, 인버터, 컨버터 기동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기동 방식이 중요한 이유는 .. 2023. 9. 24.
사고원인 분석 사업장에서 사고 발생시 사고분석기법을 적용하여 근본원인(Root Cause)를 발견한다. 사고원인 분석 DOE 분석기법 미국 에너지부(Department of Energy)에서 제시한 표준사고분석기법으로, 방호체계 분석(Barrier Analysis), 변화요인 분석(Change Analysis) 및 사건 및 사고요인 차트 분석(Event and Causal Factors Charting)을 결합하여 근본원인(Root Cause)을 발견토록 하는 기법임. Summary of Root Cause Methods (Flow Chart) SUMMARY OF ROOT CAUSE METHODS 근본원인 분석(Root Cause Analysis) 근본원인 분석을 위해 다음과 같은 RCA 사고조사 체크리스트를 이용한다.. 2023. 9. 18.
방폭인증 소개 방폭인증이란 폭발위험장소에 설치, 사용하는 기기와 방폭기기의 설치 및 폭발위험장소 구분에 대한 인증킴으로 제품, 프로세스 및 서비스에 대한 제품인증제도를 말한다. 방폭인증 소개 KCs 방폭인증 소개 “방호장치·보호구 안전인증제도(KCs 마크 : 이하 ”안전인증“이라 함)”는 위험기계·기구의 방호장치와 유해·위험한 작업장에서 근로자가 착용하는 보호구가 설계·제작단계에서 근원적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함으로써 유해·위험한 작업환경으로부터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제도이다. 산업안전보건법 제 84조(안전인증)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 74조(안전인증대상 기계 등)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 107조부터 제 114조 방폭기기의 정의 점화원(전기불꽃, 아크 또는 고온)에 의하여 외부 .. 2023. 9.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