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345

Vent 폭발위험장소 구분도 Vent 와 같은 1차 누출에 대한 폭발위험장소 구분도 작성 Guide가 IEC애서는 명확하지가 않아 타 규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폭발위험장소 가이드를 공유하고자 한다. Vent 등 1차 누출에 대한 폭발위험 범위 IEC 60079-10-1에서는 2차 누출에 대해서 세부적인 공식을 제시하여 공정 조건 등을 고려하여 누출률을 계산하고, 또한 환기 특성을 고려하여 폭발위험장소 종별 및 범위를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Vent 와 같은 1차 누출에 대한 Guide가 명확하지가 않아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금번에 타 규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폭발위험장소 가이드는 다음과 같다. NFPA 497 NFPA에서는 취급 또는 저장하고 있는 인화성 물질의 수량(Size), 운전 압력 및 유량에 따라 폭발위.. 2024. 1. 25.
방폭기기의 선정에 관한 일반사항 폭발위험장소에 방폭기기를 설치하여 설비를 구축하고자 할 때 고려할 사항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방폭기기의 선정에 관한 일반사항 기본 정보 (1) 폭발위험장소 구분도(기기보호등급 요구사항 포함) (2) 요구되는 전기기기 그룹 또는 세부 그룹에 적용되는 가스·증기 또는 분진 등급 구분 ※ 그룹과 관련한 사항은 5절에서 명시하였으며, 기기의 그룹과 관련한 사항은 KS C IEC 60079-0, KS C IEC 60079-10-1(가스), KS C IEC 60079-10-2(분진)에서 상세히 다루고 있다. (3) 가스나 증기의 온도등급 또는 최저발화온도 ※ ISO/IEC 80079-20-1에서 각종 가스에 대한 특성을 다루고 있으며, 필요시 시험을 통하여 관련 특성을 분석해야 할 수도 있다. ※ 자연발화성 물.. 2023. 12. 28.
Risk vs. Hazard vs. Danger 우리가 위험이라고 알고 있는 용어는 Risk, Hazard, Danger 등이 있는데 그들의 차이점에 대해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고자 한다. Risk vs. Hazard vs. Danger 위험성(Risk), 위험요인(Hazard) 및 위험(Danger)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작업장 안전 관리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의 삶의 모든 면에서 안전을 관리하는 데 중요한 부분이다. Risk 위험성(Risk) 이란 위험에 노출되면 사람이 해를 입거나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가능성 또는 확률이다. 또한 재산이나 장비 손실이 발생하거나 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도 적용될 수 있다. Risk is the chance or probability that a person will be harmed or exper.. 2023. 12. 13.
HAZOP Safeguards HAZOP 위험성 평가 시 각 이탈(Deviation)에 대한 안전조치(Safeguards)를 기재하여야 하는데 이와 관련된 문헌에서 발췌한 Safeguards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HAZOP Safeguards “현재 안전조치”라 함은 이탈에 대한 안전장치의 역할을 하고 있는 이미 설치된 장치나 현재의 관리상황을 말한다. - 안전조치 (Safeguards) : 이탈(deviation) 발생을 예방하거나 결과(consequences)를 완화하기 위한 기술적, 운영적, 조직적(technical, operational or organizational) 모든 조치 - 안전장치 유형 : 수동적 / 능동적 (Passive / Active) Passive ● Prevent the unwanted event (a.. 2023. 12.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