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345 회분식 반응기 자율점검 사업장에서 빈반히 발생하는 회분식 반응기(Batch Reactor)의 화재, 폭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주기적인 점검이 필요하고, 또한 위험성평가 시 유해위험요인 발굴이 필요하여 이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회분식 반응기 자율점검 회분식 반응기 최근 사고 현황(‘16년~) 연번 발생 시기 사업장명 피해 사고내용 사고작업 사망 부상 1 2021. 3 OO 1 4 (현재조사중) 물질을 잘못 투입한 것으로 추정 중 원료투입 2 2020. 3 OO - 1 고온 소다수에 고농도 가성소다를 급격히 투입하다가 넘치면서 화상을 입을 사고 원료투입 3 2020. 4 OO제약 - 1 폭발위험분위기에서 분진(원료)투입과정에서 정전기발생으로 폭발․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 원료투입 4 2020. 3 OO제약 - 1 원.. 2024. 2. 6. Degree of dilution(희석 등급) IEC 60079-10-1:2020에서 제시하고 있는 희석 등급(Degree of dilution)의 개념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Degree of dilution(희석 등급)희석 등급 개념폭발성 분위기(explosive atmosphere)의 분산(dispersion) 및 지속성(persistence)을 제어하는 환기의 효과는 희석 정도(degree of dilution), 환기의 이용도(availability of ventilation) 및 시스템 설계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환기가 폭발성 분위기의 형성을 방지하는 데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지만 지속성을 방지하는 데는 충분할 수 있다. 희석 등급은 환기 또는 대기 조건이 누출 물질을 안전한 수준으로 희석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척도이다. 따.. 2024. 2. 4. IEC 폭발위험장소 구분 방법 IEC 60079-10-1:2020에서 제시하고 있는 폭발위험장소 구분 방법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IEC 폭발위험장소 구분 방법 IEC 60079-10-1 원칙 폭발위험장소 구분을 위한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계산된다. 1. Identify sources of release(누출원 식별) 2. Calculation df the release rate(누출률 계산) 3. Classification of the dillution of flammable substances in air(인화성 물질 공기 중 희석 구분) 4. Classification of the availability of the ventilation(환기 이용도 분류) 5. Determination of the zone c.. 2024. 2. 4. IEC 60079-10-1:2020 소개 최근 개정된 IEC 60079-10-1:2020에 대해 기존 ver. 과 비교하여 차이점을 공유하고자 한다. IEC 60079-10-1:2020 소개주요 변경 내용● 1. Scope에서 저압 가연성 가스(for low pressure combustible gases)에 대한 적용 범위 제외 조항(다음 e항)이 삭제되었다.e) commercial and industrial applications where only low pressure fuel gas is used for appliances e.g. for cooking, water heating and similar uses, where the installation is compliant with relevant gas codes● 4.4 Exp.. 2024. 2. 2.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8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