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위험성평가 및 사고예방157 HAZOP Consequences HAZOP 위험성 평가 시 각 이탈(Deviation)에 따른 결과(Consequences)을 기재하여야 하는데 이와 관련된 문헌에서 발췌한 Consequences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HAZOP Consequences “결과 (Consequence)” 라 함은 이탈이 일어남으로써 야기되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서 공정 운전상 발생할 수 있는 내용을 기재한다. “결과"란에는 각각의 원인에 대하여 예상되는 결과를 모두 기록한다. Consequences 원치 않는 사건(undesired event)의 물리적 징후(physical manifestations)를 말한다. - 이때의 event 는 이탈 발생 시 시스템에 어떤 개선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발생하는 사건이다. 예상 되는 결과도 원인과 마찬가지로.. 2023. 12. 6. HAZOP Deviation별 Causes HAZOP 위험성 평가 시 각 이탈(Deviation)에 따른 원인(Cause)을 기재하여야 하는데 이와 관련된 문헌에서 발췌한 Cause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HAZOP Deviation별 Causes “원인 (Cause)”이라 함은 이탈이 일어나는 다음과 같은 이유를 말하는 것으로서 공정 운전상 발생할 수 있는 내용을 선택하여 기재한다. 하나 이상의 원인이 있는 경우에는 이들 원인 모두를 기록한다. Flow High - 펌핑 용량 증가 (Increased pumping capacity). - 흡입 압력 증가 (Increased suction pressure). - 전달 헤드 감소 (Reduced delivery head). - 유체 밀도 증가 (Greater fluid density). - 교환기.. 2023. 12. 5. 2023 위험성평가 방법의 종류 위험성평가 개정 2023 신규 지침을 바탕으로 위험성평가 방법의 종류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위험성평가 단계 중 사전 유해위험 요인 파악 단계를 간소화한 것이 이번 2023년 위험성 평가 개정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2023 위험성평가 방법의 종류 관련 법규 고용노동부고시 제2023-19호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 제7조(위험성평가의 방법) ⑤ 사업주는 사업장의 규모와 특성 등을 고려하여 다음 각 호의 위험성평가 방법 중 한 가지 이상을 선정하여 위험성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1. 위험 가능성과 중대성을 조합한 빈도ㆍ강도법 2. 체크리스트(Checklist)법 3. 위험성 수준 3단계(저ㆍ중ㆍ고) 판단법 4. 핵심요인 기술(One Point Sheet)법 5. 그 외 규칙 제50조제1항제2.. 2023. 11. 13. 유해‧위험요인 파악 사례 사고 유형에 따라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위험성평가의 기본으로 이에 대한 사례를 공유하고자 한다. 유해‧위험요인 파악 사례 유해‧위험요인 파악에서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장소, 작업, 설비 등의 항목(유해‧위험요인)과 그곳에서 어떻게 사고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설명 항목(위험성)이 체크리스트 목록으로 제공한다. ㅇ 예를 들어, 사업장에 ‘바닥이 뚫려 있는 곳(개구부)’이 있다면 그 항목과 서술된 예상할 수 있는 사고 상황에 체크하며 위험요인을 파악한다. 목록에 없는 것은 직접 작성할 수 있다. 재해(사고)유형 및 예시 유해‧위험요인 파악 1. 크레인 작업 장소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유해‧위험요인을 찾아보면 하기 그림의 둥근 이중 원형 장소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유해‧위험요인과 이에 따.. 2023. 11. 13. 이전 1 ··· 4 5 6 7 8 9 10 ··· 40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