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20

위험도분석 및 결정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 대상 사업장 단위로 하여 사고시나리오만을 대상으로 위험도분석한다. 위험도 분석을 위한 검토요소는 사고시나리오 개수, 사고시나리오 시설빈도, 사고시나리오 거리, 사고시나리오 영향범위 내 주민수를 말한다. 위험도분석 및 결정 위험도 분석의 대상 및 검토요소 ① 위험도 분석은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 대상 사업장 단위로 하여 사고시나리오만을 대상으로 분석한다. 즉, 사고시나리오 규정수량 이상으로 시나리오 분석한 결과 영향범위가 사업장 부지 경계를 벗어나지 않는 시나리오와 최악조건의 시나리오는 위험도 분석에서 제외한다. ② 위험도 분석을 위한 검토요소는 사고시나리오 개수, 사고시나리오 시설빈도, 사고시나리오 거리, 사고시나리오 영향범위 내 주민수를 말한다. 1) 사고시나리오 개수는 .. 2021. 7. 6.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변경 제출 등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변경 제출 등에 관한 내용은 화학물질안전원고시 제2021-7호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 등에 관한 규정을 참조하여야 한다.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변경 제출 등 관련 법규 화학물질안전원고시 제2021-7호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 등에 관한 규정 제8조(주민 소산계획 변경에 따른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의 변경 제출 시기) 법 제23조제3항제3호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주민 소산계획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요청한 경우(대피장소, 주민 경보전달 방법 및 절차, 유관기관과의 협의체계가 변경된 경우에 한정한다)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를 제출한 운영자는 안전원장으로부터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제출을 통지 받은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를 안전원장에게 제출해야 한다. 제9조(화학.. 2021. 6. 26.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KORA ver.5(beta) 배포 화학물질관리법 개정('21.4.1. 시행)에 따라 장외영향평가서와 위해관리계획서가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로 통합운영된다. 이에 따라 화학물질안전원에서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을 지원하고자 최근에 KORA ver.5(beta)를 배포하였고, 또한 지난 3월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 주관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온라인 설명회를 개최한 바 있다.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KORA ver.5(beta) 주요 내용 구조적으로 KORA ver.5는 이전 버전들과 호환이 불가능한 바,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 시 KORA ver.5로 새롭게 작성해야 한다. KORA ver.5(beta) 첨부 화학물질안전원 다음 site 참조: https://nics.me.go.kr/boardView.do?menuId=32&boardM.. 2021. 4. 5.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검사 등 관련 Q&A 다음은 금번 화학물질안전원에서 배포한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설치검사, 정기검사, 교육, 주민고지 등 관련 Q&A를 정리한 내용이다.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검사 등 관련 Q&A Q1. ‘15년도 이전 설치된 연구소는 정기검사는 면제인데 이후 설립된 연구소에 대한 설치검사는 면제되지 않는지요? ☞ 설치검사는 면제 대상 아님 Q2.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대상이 아닌 경우,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적합 공문이 없어도 설치검사 신청이 가능한가요? ☞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 면제인 경우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와 무관하게 설치검사 신청 가능. 다만,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면제 대상임을 증명하기 위해, KORA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면제군” 사업장임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를 준비해야 함 Q3.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면.. 2021. 3.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