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25 결과 기반 분석 방법 vs. 위험 기반 분석 방법 결과 기반 분석 방법(Consequence-based risk analysis methods)은 결정론적(Deterministic) 위험 분석 방법이라고도 한다. 위험 기반 분석 방법(Risk-based risk analysis methods)은 위험을 빈도와 결과의 조합으로 인식하며 확률론적(Probabilistic) 방법의 예이다. 결과 기반 분석 방법 vs. 위험 기반 분석 방법 결과 기반 분석 방법(Consequence-based risk analysis methods) 결과 기반 분석 방법(Consequence-based risk analysis methods)은 결정론적(Deterministic) 위험 분석 방법이라고도 한다. 결과 기반 방법은 빈도수를 명시적으로 정량화하지 않고 신뢰할 수 있.. 2021. 3. 15. 개인적 위험 vs. 사회적 위험 개인적 위험(Individual risk)은 위치 기반 위험(Location-based risk)이라고도 하며 개인적 위험을 위험원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개인이 노출되는 위험으로 정의한다. 사회적 위험(Societal or group risk)은 한 무리의 사람들이 동시에 사고의 결과에 노출되는 위험을 나타낸다. 사회적 위험과 위치 기반 위험의 기준은 서로를 보완하는 데 사용된다. 개인적 위험 vs. 사회적 위험 개인적 위험(위치 기반 위험) : Location-based (individual) risk 개인적 위험'(Location-based (individual) risk)이라는 용어는 정량적 위험 기준과 관련하여 자주 사용된다. DS/INF 85는 개인적 위험을 위험원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개인이 노출.. 2021. 3. 15. 유해화학물질 소량 취급시설 기준 소규모 취급시설에 대한 기준을 별도로 정하여 규칙 별표5에 규정되어 있는 기준 항목 중 일부를 다르게 하여 적용하거나 적용을 제외하도록 하였다. 별표5 비고 제2호에서는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규모 미만의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중 화학물질안전원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에 대해서는 해당 고시에서 정하는 기준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 유해화학물질 소량 취급시설 기준 (취급시설 기준)화관법 제24조제1항에서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은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배치ㆍ설치 및 관리 기준 등에 따라 설치ㆍ운영되어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고, 환경부령 제21조제2항에서는 “유해화학 물질 취급시설의 설치 및 관리기준은 별표 5와 같다”고 규정하고 있다. 즉 취급시설을 설치ㆍ운영하고자 하는 자는 이 별표5.. 2021. 3. 15. 계장(Instrument) 설계 컴퓨터의 발달로 인해 계장 기술이 획기적으로 진보되어 공장 운전의 안전성과 효율성에 많은 기여를 하게 되었다. 계장설비는 항상 타부분 설계와 관계가 있어서 독립적인 설계는 불가능하므로 플랜트 건설의 계획단계에서부터 시운전까지 계장설계에 대한 업무가 지속되어야 한다. 계장(Instrument) 설계 토지조성비를 제외한 공장 전체건설비중 계장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대규모 플랜트에서 6~8%, 비교적 소규모적인 플랜트에서 7~10%, 특수한 경우일지라도 대체로 15% 이하이다. 계장비의 내역은 일반적으로 계기 본체의 비용이 60~70%를 차지하고 공사 자재비 20~30%, 노임 10~15%, 기타 2~5% 정도를 점유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노임이 점하는 비율이 점차 상승하는 실정에 있다. 이와 같이 계장 공사비.. 2021. 3. 14. 이전 1 ··· 342 343 344 345 346 347 348 ··· 38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