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23

전지 제조·취급 화재·폭발 사고 예방 전지 제조·취급업종에서 화재·폭발 위험이 있는 화학물질·제품, 특히 리튬전지를 제조·취급하는 사업장이 증가함에 따라 전지 제조·취급 화재·폭발 사고 예방 대책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전지 제조·취급 화재·폭발 사고 예방전지 제조·취급업 특징• 화재·폭발 위험이 있는 화학물질·제품을 취급• 특히 다양한 장점을 가진 리튬전지를 제조·취급하는 사업장 증가  리튬전지 위험요인 • 손상되거나 고온·습기 노출 시 과열, 발화• 주변 전지로의 열전달 시 대형 화재·폭발 발생   사고 예방 대책 • 저습도 상태를 유지하고 발열·화재 감지 장치를 설치항목예시습도관리, 작업장 환기- 습도관리 실시간 모니터링 - 외부공기 유입 억제(저습도 공정 유지)- 결함 전지 별도 보관(담수, 배기처리) - 방전 처리한 폐전지 보.. 2024. 10. 24.
정비·수리 등의 비정형 작업 안전관리 항만하역업의 정비·수리 등의 비정형 작업 안전관리에 대하여 공유하고자 한다.    정비·수리 등의 비정형 작업 안전관리  비정형작업이란 작업조건, 방법, 순서 등 표준화되어 있는 반복성 작업이 아닌 작업의 조건 등이 일상적이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정비·청소·급유·검사·수리·교체·조정 등의 작업을 말한다.  비정형작업 주요 위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업종·기계 설비 다양- 위험이 특정 기계·설비에 국한되지 않음● 생산효율을 위한 전원 미차단- 설비 가동 중 위험점에 접근 관행 有● 방호장치 부재 또는 해제- 노후 기계·설비 사용 및 작업편의상 제거  관련 법규• 안전보건규칙 제20조 (출입의 금지 등)• 안전보건규칙 제42조 (추락의 방지)• 안전보건규칙 제87조 (원동기ㆍ회전축 등의 위험 방지)•.. 2024. 10. 23.
위험물 화재·폭발 사고 예방 조치 항만하역업의 위험물 화재·폭발 사고 예방 조치에 대하여 공유하고자 한다. 여기서 위험물(Dangerous Goods)이란 운송 시 건강, 안전, 재산 및 환경에 부당한 위해를 끼칠 수 있는 모든 물질 및 제품을 말한다.    위험물 화재·폭발 사고 예방 조치위험물(Dangerous Goods) 유해·위험 요인 및 IMO의 IMDG Code에 대해서는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https://sec-9070.tistory.com/1478 위험물 작업 유해·위험 요인항만하역업의 위험물 작업의 유해·위험 요인을 공유하고자 한다. 여기서 위험물(Dangerous Goods)이란 운송 시 건강, 안전, 재산 및 환경에 부당한 위해를 끼칠 수 있는 모든 물질 및 제품을 말한다.sec-9070.tistory.c.. 2024. 10. 22.
위험물 작업 유해·위험 요인 항만하역업의 위험물 작업의 유해·위험 요인을 공유하고자 한다. 여기서 위험물(Dangerous Goods)이란 운송 시 건강, 안전, 재산 및 환경에 부당한 위해를 끼칠 수 있는 모든 물질 및 제품을 말한다.    위험물 작업 유해·위험 요인일반적으로 위험물(Dangerous Goods)이란 운송 시 건강, 안전, 재산 및 환경에 부당한 위해를 끼칠 수 있는 모든 물질 및 제품을 말한다.또한, 위험물에는 이전에 위험물을 담았던 세척되지 않은 빈 포장용기(소형용기, 중형산적용기, 대형용기,  산적용기, 이동식 탱크 또는 탱크 차량)도 포함된다. IMO의 IMDG Code에서 규정하는 제1급부터 제9급까지의 위험물 컨테이너를 처리하는 작업으로 본선작업, 운송작업, 야드작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위험물 컨테이.. 2024. 10. 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