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 기술508

흡열 반응 vs. 발열 반응 화학물질의 흡열 반응 및 발열 반응에 있어서 엔탈피 변화(ΔH), 반응열, 결합에너지(Bond energy) 또는 결합 엔탈피와의 관계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흡열 반응 vs. 발열 반응 엔탈피 변화(ΔH) 엔탈피(enthalpy, H) 정의에 대해서는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 https://sec-9070.tistory.com/1269 엔탈피(Enthalpy) 개념 열역학 제 1법칙을 이해하기 위해 엔탈피(enthalpy, H) 개념을 이해할 필요가 있어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화학물질의 흡열 반응 및 발열 반응 이해에도 필요하다. 엔탈피(Enthalpy) 개념 엔탈피(enthalpy sec-9070.tistory.com 엔탈피는 그 값의 기준을 어떤 점으로 잡느냐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그 .. 2024. 2. 8.
엔탈피(Enthalpy) 개념 열역학 제 1법칙을 이해하기 위해 엔탈피(enthalpy, H) 개념을 이해할 필요가 있어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화학물질의 흡열 반응 및 발열 반응 이해에도 필요하다. 엔탈피(Enthalpy) 개념 엔탈피(enthalpy, H) 정의 엔탈피(enthalpy, H) 는 열역학계의 성질로, 계의 내부 에너지에 압력 곱하기 부피를 더한 값으로 정의된다. H = U + pV 여기서 H는 계의 엔탈피를, U는 계의 내부 에너지를, p는 계의 압력을, V는 계의 부피를 의미한다. 위의 엔탈피의 정의는 그 값이 기준을 어떤 점으로 잡느냐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그 자체로 쓰이는 것 보다는 계의 어떤 상태와 다른 상태 간의 엔탈피 차이(ΔH)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쓰인다. 어떠한 과정에서 압력의 변화가 0인 경우엔(ΔP.. 2024. 2. 8.
석유화학공장 배치 및 이격거리기준(2) 화학공장 등에서 단위공정 등의 적절한 배치와 충분한 이격거리를 확보함으로써 화재·폭발·누출과 같은 사고로부터 인명과 재산 및 조업중단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석유화학공장 배치 및 이격거리기준(2) 단위공정 1. 단위공정은 일반적으로 공장에서 가장 위험한 운전 부분이며 효율적인 운전을 위해서 단위공정은 집단으로 되어 있으며 일반 공정 흐름에 따라 배열해야 한다. 2. 개별 공정의 상대적인 위험도에 따라 다양한 단위공정 사이에 필요한 이격거리를 결정해야 하며 위험한 공정은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타 위험한 공정과 이격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3. 저위험 또는 더 낮은 위험 공정은 고위험 공정으로부터 충분한 이격거리를 유지해야 연소 확대 위험을 줄일 수 있다. 4. 단위공정에 공통적으로.. 2024. 2. 5.
석유화학공장 배치 및 이격거리기준(1) 화학공장 등에서 단위공정 등의 적절한 배치와 충분한 이격거리를 확보함으로써 화재·폭발·누출과 같은 사고로부터 인명과 재산 및 조업중단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석유화학공장 배치 및 이격거리기준(1) 공정 위험도 기준 각 공정의 고유위험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공정 위험도 또한 다르다. 단위공정은 화재 및 폭발위험에 따라 저위험(Moderate Hazard), 중위험(Intermediate Hazard), 고위험(High Hazard) 으로 구분한다. 1. 저위험(Moderate Hazard) 준폭발위험(Limited Explosion Hazard) 및 보통 화재위험(Moderate Fire Hazard)이 있는 단위공정이나 단위조작이 포함된다. 이 범주에는 일반적으로 흡열반응과 증류, 흡수,.. 2024. 2. 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