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학 기술508 긴급차단밸브 설치 운전조건의 이상, 주위의 화재 또는 위험물질 등의 누출로 인한 2차적인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위험물질 및 관리대상 유해물질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긴급차단밸브 설치에 관하여 공유하고자 한다. 긴급차단밸브 설치관련 법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75조(긴급차단장치의 설치 등) ① 사업주는 특수화학설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상 상태의 발생에 따른 폭발ㆍ화재 또는 위험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재료 공급의 긴급차단, 제품 등의 방출, 불활성가스의 주입이나 냉각용수 등의 공급을 위하여 필요한 장치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② 제1항의 장치 등은 안전하고 정확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보수ㆍ유지되어야 한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435조(긴급 차단장치의 설치 등) ① 사업주는 관리대상 유해물.. 2024. 3. 3. 대전방지제 및 도전성 재료 도전성 재료는 주로 전류가 통과하는 데 저항을 제공하지 않는 것이 특징으로, 이는 재료의 전기적 및 물리적 특성 덕분에 가능하다. 대전방지제는 섬유나 수지의 표면에 흡습성과 이온성과 함께 도전성을 증가시키고 대전방지하는 것이며, 대전방지제에 주로 많이 이용되는 물질은 계면활성제이다. 대전방지제 및 도전성 재료 도전성 재료에 의한 대전방지 도전성 재료를 구조적으로 분류하면 분산계와 적층계가 있고, 대전방지방법으로 분류하면 누설에 의한 대전방지와 공기중 방전에 의한 대전방지로 나누어진다. 도전성 재료 1. 분산계 도전재료 도전원리는 입자상, 섬유상의 도전성 분산체가 직접 접촉에 의하여 전류가 흐르는 경우와 도전성 분산체의 직접 접촉이외의 절연박막간의 터널 효과에 의하여 전류가 흐르는 경우 두가지가 있다. (.. 2024. 3. 2. 정전기용 접지 및 본딩 방법 접지는 정전기의 방지대책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대책으로서 물체에 발생한 정전기를 대지로 누설, 완화시켜 물체에 정전기의 축적 또는 대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정전기용 접지 및 본딩 방법정전기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접지경로의 저항은 전하를 소멸시키기에 충분해야 한다. 1 ㏁ 이하의 저항은 일반적으로 충분하다고 보며, 본딩/접지 시스템이 모두 금속인 곳에서의 접지경로 저항은 일반적으로 10 Ω 이하이다. 정전기 접지 vs. 전원 접지전기를 사용하는 모든 기기는 전원접지가 되어야 하며 계측기와 접지간의 전위차이는 10 V이하 또는 1 Ω 이하가 되어야 한다.따라서, 접지는 설비 및 인체의 정전기를 흘러 보내기 없애기 위한 통로로써 모든 도체는 접지를 시켜야 하며, 또한, 다음 그림과 같이 전.. 2024. 3. 2. 접지 및 본딩에 의한 대전방지 접지는 정전기의 방지대책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대책으로서 물체에 발생한 정전기를 대지로 누설, 완화시켜 물체에 정전기의 축적 또는 대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접지 및 본딩에 의한 대전방지 접지는 정전기의 방지대책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대책으로서 물체에 발생한 정전기를 대지로 누설, 완화시켜 물체에 정전기의 축적 또는 대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대전물체의 부근 또는 대전물체와 접촉된 물체에 정전유도에 의한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하고, 대전물체의 전위상승 또는 정전기의 방전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접지 및 본딩의 대상 (1) 접지의 대상은 금속 도체이다 (2) 다음 물체에는 그 표면에 금속도체를 접지전극으로 이용하는 간접 접지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 전도도 1 × 10^-6 S/m 이상인 도체.. 2024. 3. 2.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12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