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 기술508

본딩 및 접지 사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5조(정전기로 인한 화재 폭발 등 방지)의 규정에 따라, 정전기에 의한 화재·폭발의 위험이 있는 사업장에서 정전기 재해예방을 위한 본딩 및 접지 사례를 공유하고자 한다. 본딩 및 접지 사례 본딩 vs. 접지 “본딩(Bonding)”이라 함은 둘 또는 그 이상의 도전성 물질이 같은 전위를 갖도록 도체로 접속하는 것을 말한다. "접지(接地, ground, earth)"는 전기 회로를 도선으로 연결해 전류가 지면으로 흐르게 하는 것을 말한다. 본딩은 도전성 물체사이의 전위차를 줄이기 위해 사용되고, 접지는 물체와 대지사이의 전위차를 같게 하는 것으로, 본딩과 접지사이의 관계는 에 나타내었다. 본딩 및 접지 (1) 도전성 물체는 직접 대지로 접지되거나 접지된 다른 도전성 물체와.. 2024. 2. 24.
정전기의 유도 및 축적 정전기는 전하의 생성이 소멸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때 축적되며, 생성된 전하는 중성상태로 돌아가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정전기 유도 및 축적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정전기의 유도 및 축적 정전기의 유도 하나의 대전체가 절연물체에 접근하면 절연체에도 정전기가 유도된다. 대전체와 가까운 곳에는 대전체와 반대 극성의 전하가 유도되고, 먼 곳에는 동일 극성의 전하가 유도된다. 유도된 물체의 먼 곳을 접지시키면 대전체와 동일한 전하는 소멸되며, 접지를 제거한 후 대전체를 제거하면 유도된 물체에는 대전체와 반대 극성인 전하만 남는다. 정전기 유도 정전유도의 크기는 전계에 비례하고 대전체로부터의 거리에 반비례하며, 도체의 형상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데, 이는 유도대전을 일으켜 각종 장․재해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이.. 2024. 2. 22.
정전기 발생 이해 정전기(靜電氣, static electricity, electrostatic) 개념 및 정전기의 발생 원인 등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정전기는 전기이지만 그 특성으로 인해 업계에서는 연간 수십억 달러의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를 야기한다. 정전기 발생 이해 정전기란 물질 내부 또는 표면의 전하 또는 정지 상태의 전기의 불균형을 말한다 . Static electricity is an imbalance of electric charges within or on the surface of a material or electricity at rest. 정전기는 양전하 또는 음전하 또는 양전하와 음전하 모두로 구성될 수 있다. 정전기의 메커니즘 모든 물질은 원자로 구성되어 있다. 균형 잡힌 원자는 원자핵에 존재하는.. 2024. 2. 21.
G/L 및 P/L 설비 접지 사례 화학 공장에서 탱크 및 배관 등 설비에 glass 또는 비전도성 polymer(Teflon 등)로 lining되어 있거나 polymer로 제작 또는 비전도성 gasket으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 정전기 축적 등으로 화재, 폭발의 위험성이 있어 이에 대한 접지 대책을 공유하고자 한다. G/L 및 P/L 설비 접지 사례 정전기 점화 방지를 위한 일반 설계 방법, 완화(Relaxation), 본딩 및 접지(Bonding and Grounding), 침액 파이프(Dip Pipes), 첨가제에 의한 전도성 증가(Increasing Conductivity with Additive) 등 정전기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는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 https://sec-9070.tistory.com/554 정전기의 .. 2024. 2. 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