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인보호구5 건강장해 요인 및 대책 사업장에서 근로자 건강에 영향을 주는 작업환경 각 요인별 대표적인 건강장해를 살펴보고 그 대책을 공유하고자 한다. 건강장해 요인 및 대책 건강장해 요인근로자 건강에 영향을 주는 작업환경 각 요인별 대표적인 건강장해는 다음과 같다. 작업환경요인에 대한 영향※ 화학적 요인 등에 의한 건강장해 : 유해물질 ⇨ 발 산 ⇨ 공기오염 ⇨ 인체흡수(호흡기, 소화기, 피부) ⇨ 축적 ⇨ 건강장해 ※ 물리적 요인 등에 의한 건강장해 : 유해에너지 ⇨ 방사, 전파, 온도 또는 기압변동 ⇨ 건강장해 ※ 작업행동 요인 등에 의한 건강장해 : 정상 환경 ⇨ 불량한 작업조건(작업자세, 작업시간) ⇨ 건강장해 건강장해 예방 대책 (1) 관리적 대책 • 배치전 건강진단으로 근로자의 적정 배치, 정기건강진단, 특수건강진단 및.. 2024. 7. 3. 위험성 감소대책 적용 예시 소규모 사업장에서 유해‧위험요인에 대한 위험성 감소대책을 수립할 때,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조치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록으로 KOSHA에서 제공한 자료이다. 위험성 감소대책 적용 예시 위험성 감소대책은 ❶‘제거‧대체’ ➞ ➋‘공학적 대책’ ➞ ➌‘관리적대책’ ➞ ➍‘개인보호구의 사용’ 순서를 고려하여 대책을 수립한다. ㅇ 예를 들어, 목록화된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순서에 따라 - ❶(제거‧대체) 개구부가 작업상 필요하지 않은 것이라면 제거하는 것을 우선 고려해 본다. 할 수 있다면 해야 할 조치로 체크 표시하고, 작업상 꼭 필요해서 제거할 수 없다면 다음 순서의 항목을 고려한다. - ➋(공학적 대책) 개구부에 덮개를 설치하는 것으로 결정했다면 해당 항목에 체크한다. ※ 사업장 사정에 따라 덮개가 아.. 2023. 11. 10. 독성가스 취급시설 등의 안전관리 독성가스나 급성독성물질 중 상온·상압에서 기화에 의해 유해성이 있는 독성물질을 저장, 취급또는 제조하는 사업장에서는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야 한다. 독성가스 취급시설 등의 안전관리 독성가스 vs. 급성독성물질 정의에 대해서는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 https://sec-9070.tistory.com/741 독성가스 개요 독성가스나 급성독성물질 중 상온·상압에서 기화에 의해 유해성이 있는 독성물질을 저장, 취급또는 제조하는 사업장에서는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야 한다. 독성가스 개요 독성가스 vs. 급성독성 sec-9070.tistory.com 일반적 관리 (1) 독성가스 저장, 취급 또는 제조 사업장은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요구하는 공정안전보 고서 제출 대상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공정안전시스템을 적용하여.. 2022. 7. 4. 산안법 작업관리 산안법 작업관리는 1. 작업계획 수립 및 표준작업 관리지침 작성, 2. 안전보건 교육, 3. 밀폐된 공간의 출입 또는 작업금지, 4. 저장 및 빈 용기의 처리, 5. 사고 시의 대피, 6. 화재·폭발·누출에 의한 위험방지, 7. 근로자의 준수사항, 8. 응급조치, 9. 개인보호구의 항목으로 구분된다. 산안법 작업관리 작업계획 수립 및 표준작업 관리지침 작성 - 유해화학물질 취급 작업에 대한 작업계획을 수립할 때에는 유해화학물질에 의한 유해성·위험성 여부를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유해화학물질이 발생되는 작업공정에 대하여는 다음 내용을 포함하는 표준작업관리지침을 마련하여 작업 근로자가 준수하도록 한다. • 작업계획 및 표준작업 절차 • 유해화학물질 발생 억제 조치에 관한 사항 • 해당 시설 및 설비 등에 설치.. 2022. 4. 22.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