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 기술510

CCSS vs ACQC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원표 약품 공급을 위한 CCSS(Central Chemical Supply System: 화학약품 공급장치)와 CCSS의 핵심인 ACQC (Automatic Clean Quick Coupler) System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CCSS vs ACQC 반도체 Chemical 공급 체계 반도체 제조와 관련한 장치에는 인화성, 부식성, 독성물질 등의 수없이 많은 화학물질을 사용하게 되는데 반도체 제조설비(FAB)에 화학물질을 공급하는 공급설비, 반도체를 생산하는 클린룸 제조설비(FAB)와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사용 후 생성된 반응 부산물과 미반응 물질을 처리하는 처리설비로 나눌 수 있으며, 그림 1과 같이 구분하고 있다. Chemical supply system for Semicond.. 2023. 2. 17.
위험물탱크 중간정기검사 액체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50만리터 이상의 옥외탱크저장소는 설치허가에 따른 완공검사필증을 발급받은 날부터 4년부터 정기검사를 받아야 한다. 위험물탱크 중간정기검사 관련 법규 위험물안전관리법 제18조(정기점검 및 정기검사) ③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제조소등의 관계인은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으로부터 해당 제조소등이 제5조 제4항에 따른 기술기준에 적합하게 유지되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아야 한다 시행령 제17조(정기검사의 대상인 제조소등) 대통령령이 정하는 제조소등이라 함은 액체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50만리터 이상의 옥외탱크저장소를 말한다 중간정기검사 시기 시행규칙 제70조(정기검사의 시기)에서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가. 특정·준특.. 2023. 2. 15.
위험물 탱크의 분류 위험물 탱크의 분류는 사용압력에 따라 분류할 수도 있고 탱크의 지붕형태에 따라 분류하기도 한다. 위험물 탱크의 분류 1. 사용압력에 따른 탱크 분류 (1) 상압탱크 : 대기압(게이지압 0 ㎜Hg)에서 0.07 ㎏f/㎠(1.0 psi, 52 ㎜Hg)까지 범위의 압력으로 다량의 액체를 저장하는데 사용되고, 콘루프탱크, 플루팅루프탱크, 증기돔 탱크, 원통형 탱크 등이 이에 포함된다. (2) 저압탱크 : 저장탱크의 설계 압력이 0.07 ㎏f/㎠(1.0 psi, 52 ㎜Hg)초과 1.02 ㎏f/㎠(15 psi; 775.5 ㎜Hg)이하이며, 자체 증기압 하에서 클래스 IA 액체와 같은 휘발성 액체의 저장에 사용된다. 이러한 탱크는 구형, 타원체 또는 원통형이 사용되며, 저장탱크의 형태는 저장물질에 따라 적합한 방식.. 2023. 2. 15.
납 축전지 개요 비상전원인 무정전 전원공급장치(無停電 電源供給裝置,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에 사용되는 축전지는 일반적으로 납 축전지(lead–acid battery)로서 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납 축전지 개요 예비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축전지설비는 축전지, 충전장치, 인버터 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상시 전원이 정전되었을 때 비상발전기가 가동되어 정격전압을 확보할 때 까지 예비전원으로 사용한다. 축전지설비 및 UPS 개요에 대해서는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 https://sec-9070.tistory.com/694 예비동력원(비상발전기, UPS 등) 화학설비는 예기치 못한 정전, 자체 전기공급설비 고장 등 사고로 인하여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면 설비의 안전문제와 경제적인 막대한.. 2023. 2. 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