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 기술510

압축 공기의 "압력" 개념 "압축 공기"는 대기 압력의 공기를 사용 목적에 부합하는 압력까지 압축된 공기를 의미한다. 압축 공기의 "압력" 개념 "압력”이란 “단위 면적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힘(Force)"이라 함은 "질량을 갖는 물체가 가속도 운동을 하도록 물체에 작용하는 외력"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또 우리가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 할 수 있는 근본 원리는 "파스칼의 법칙" 이다.파스칼의 법칙은 정지한 유체 내 한 곳에 생간 압력의 변화는 유체내의 모든 곳, 모든 방향으로 똑같이 전달된다는 것이다. (고체의 경우에는 힘이 작용하는 방향으로만 압력이 전달 됨에 유의.) kg은 질량의 단위이며 지구의 어느 장소, 우주의 어느 장소에서도 변함이 없는 물리량인 반면 kgf는 우리가 흔히 이야기.. 2023. 2. 23.
압축기 맥동(Surging) 맥동(Surging)이란 펌프나 압축기를 저유량 영역에서 설비 입구와 출구의 진공계 및 압력계의 지침이 흔들이고 동시에 송출유량과 송출압력 사이에 주기적인 변동이 생기는 현상을 말한다. 압축기 맥동(Surging) 압축기 압력 생성 과정 압축기에서 압력이 생성되는 과정을 보면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임펠러(Impeller)를 거쳐 디퓨져(Diffuser), 스크롤(Scroll)을 지나면서 속도(운동) 에너지가 압력(정압) 에너지로 변환된다. (다음 그림 1, 2 참조) 회전체의 구성 Impeller와 Diffuser가 조립된 상태의 모습 압축기에서의 일반적인 온도, 압력, 유체 속도 변화를 살펴보면 아래 그림 3과 같다. 그림 3에서 보는 것처럼 Impeller에서 가속된 공기의 속도는 Diffus.. 2023. 2. 21.
펌프 맥동(Surging) 맥동(Surging)이란 펌프나 송풍기를 저유량 영역에서 설비 입구와 출구의 진공계 및 압력계의 지침이 흔들이고 동시에 송출유량과 송출압력 사이에 주기적인 변동이 생기는 현상을 말한다. 펌프 맥동(Surging) 펌프의 맥동(Surging) 현상 펌프를 적은 유량 범위의 상태에서 가동시키게 되면 송출 유량과 송출 압력의 주기적인 변동이 반복되면서 소음과 진동이 심해지는 맥동 현상이 발생한다. 펌프의 서징 현상이 지속되면 시스템의 운전 상태가 불안정하게 되며, 심할 경우에는 기계 장치나 배관의 파손도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서징에 따른 진동 주파수는 관로의 고유 진동수에 따라 다르나 대략 0.1~10Hz 정도로 알려져 있다. 서징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 펌프의 특성 곡선이 아래의 그래프와 같이 둥글게 솟.. 2023. 2. 21.
LP 용기용 과류방지밸브(excess flow valve) 과류방지밸브(excess flow valve)는 탱크 등에서 가연성 액체나 가스가 대량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밸브. 유출량이 일정치를 초과하게 될 경우 밸브는 자동적으로 폐쇄된다. LP 용기용 과류방지밸브(excess flow valve) 관련 법규 KGS FU 434 액화석유가스 자동차 연료장치의 시설·기술·검사 기준 2.3.3.2 용기밸브 2.3.3.2.2 기화기방식 및 기체분사방식 자동차 연료장치의 액출구 밸브에는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과류방지밸브를 설치한다. (1) 폐지유량 6L/min 이하 (프로판환산), 폐지차압 0.05 MPa 이하에서 작동하는 것으로서 균압노즐을 설치한 경우 노즐 직경은 1mm 이하인 것 (2) 폐지유량 6L/min 이하(프로판환산), 폐지차압 .. 2023. 2. 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