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 기술509

연소시 이상(異常)현상 연소의 상황에 따라 구분하는 방법은 발열과 방열의 관점으로 열의 발생(발열) 과 발산 (방열) 이 균형을 유지하면서 연소하는 정상연소(normal combustion)와 균형이 깨져 연소속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폭발적으로 연소하거나 산소나 열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해 소극적으로 연소하는 비정상연소(abnormal combustion)가 있다. 연소시 이상(異常)현상 연소의 상황에 따른 연소의 형태 ● 정상연소 - 연소시의 조건이 양호하여 정상적으로 연소가 이루어지는 경우로 충분한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질 때의 연소를 말한다. - 연소상의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고 연소장치 기기 및 기구에서의 열효율도 높다 ● 비정상연소 - 연소시의 조건이 좋지 않아 정상적으로 연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로 공기의 공급이 불충분한.. 2023. 3. 4.
불꽃연소 vs. 작열연소 연소의 형태 구분에서 불꽃의 존재유무에 따라 구분하는 방법에는 불꽃이 있는 불꽃연소와 불꽃이 없는작열연소로 구분하며, 불꽃이 있는 불꽃연소에는 확산연소, 예혼합연소, 자연발화가 있고 불꽃이 없이 빛만 내는 작열연소에는 작열연소와 훈소가 있다. 불꽃연소 vs. 작열연소 불꽃연소(Flaming Combustion), 표면화재(Flash Fire, Surface Fire) ● 연소사면체(Fire tetrahedron)에 의한 연소로 연소속도가 빠르고 불꽃과 열을 내면서 연소하므로 표면화재라고도 하며, 연소의 4요소 중 하나인 연쇄반응을 수반한다. ● 즉, 연료의 표면에서 불꽃(화염)을 발생하며 연소한다. ● 연소시 가연성 가스와 산소가 높은 농도에서 낮은 농도로 이동한다는 Fick의 법칙에 따라 가연성 가스와.. 2023. 3. 4.
열매체유 보일러 위험성 “열매체유 (Heat transfer fluid)”라 함은 수증기나 물 이외의 유체를 이용한 열교환기 등을 통하여 공정상의 물질을 간접적으로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물질을 말한다.   열매체유 보일러 위험성열매체유는 인화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일정한 압력 하에서 운전되기 때문에 열매체유 펌프, 열매체유 이송배관, 열팽창탱크 등 열매체유 취급 장치 및 설비에서 누출이 일어나고 스파크, 정전기 등의 점화원이 존재하면 화재·폭발이 발생되어 중대산업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열매체유 보일러 구성열매체유 보일러의 구성은 그림 1>과 같으며, 압력용기는 해당 압력용기 검사기준에 적합해야 한다. 주 1) N.C.(Normal close; 정상운전 시 닫음 )그림 1> 열매체유 보일러의 구성 “팽창탱크 .. 2023. 2. 28.
포화 증기 유량계 금번에는 포화 증기 전용으로 설계된 스파이렉스사코의 TVA 유량계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본 내용은 스파이렉스사코 기술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포화 증기 유량계 TVA 포화 증기 유량계는 순간 유량에 대해 콘이 움직이면서 발생된 응력을 측정하여 작동한다. 이 응력은 다시 밀도가 보상된 질량 유량으로 변환되어 단일 루프 전원의 4~20 mA와 펄스, RS 232 Modbus 출력으로 전송된다. 유량계 구조 TVA 포화 증기 유량계 구조(Source: 스파이렉스사코 기술 자료) 유량계 사양(Specifications) ● 압력/온도 한계 * 압력강하 : TVA 전후의 압력 강하는 DN80, DN100일 경우 최대 유량에서 500 mbar (200″H2O), DN50일 경우는 750 mbar(300″H.. 2023. 2. 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