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 기술509

파일럿플랜트 (Pilot plant) 정의 “파일럿플랜트 (Pilot plant)"라 함은 상업용 공장 건설이나 제품 생산을 목적으로 공정 안전성 확보, 잠재적 위험성 발견 등 상업화에 필요한 데이터의 획득으로 소규모의 연구·실험용 설비로 이루어진 시제품 생산 공장을 말한다. 파일럿플랜트 (Pilot plant) 정의 파일럿플랜트의 역할 다음 그림은 화학산업에 있어서 전통적인 공정개발단계를 나타낸 것으로, 새로운 공정의 개발절차에서 파일럿플랜트는 그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신규시장 진입을 목표로 개발된 기술을 상업화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거치는 중간단계로 상업화 성공을 위한 다양한 기술적 검토와 데이터의 획득을 목적으로 한다. 화학산업에서 전통적인 공정개발단계 전통적인 공정개발단계에서 파일럿플 랜트가 가지는 몇 가지 중요한 역할 및 목적을.. 2023. 3. 14.
분진폭발 특징 및 발생조건 등 분진폭발은 아주 미세한 가연성의 입자가 공기 중에 적당한 농도로 퍼져 있을 때, 약간의 불꽃, 혹은 열 만으로 돌발적인 연쇄 산화-연소를 일으켜 폭발하는 현상을 말한다. 분진폭발(粉塵爆發) 특징 및 발생조건 등 분진폭발 5요소 및 일차/이차 분진폭발(Primary/Secondary Dust Explosion), 예방대책에 대해서는 기 포스팅한 다음 링크 자료 참조 https://sec-9070.tistory.com/79 분진폭발 5요소 및 예방대책 분진폭발 5요소는 기존의 폭발 3요소인 산소, 분진연료(Combustible dust), 발화원에, 부유분진(분진이 공기중에 떠다니고 있을 것)과 한정된 공간(공장내부 등)내에 있을 것이라는 2가지 조건을 추가 sec-9070.tistory.com 분진폭발 발.. 2023. 3. 9.
건조설비의 화상방지 대책 건조설비는 고온 부위 접촉으로 인한 화상방지를 위해 단열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되어 여러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화상예방 대책을 공유하고자 한다. 건조설비의 화상방지 대책 건조설비는 불연성 재료로써 최대운전 온도에서의 열팽창에 의한 응력을 충분히 견딜 수 한다. 따라서 건조설비의 외부표면온도가 70 ℃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한다. 덕트는 운전온도에 적합한 내열성 및 불연성 재료로써 배기가스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외부표면 온도가 70 ℃를 초과하는 경우는 덕트 접촉으로 인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단열 등의 조치를 한다. 다만, 작업장소에서 약 2.3 m 이상 설치되어 작업자가 접촉할 우려가 없는 부위는 제외가 가능하다. 재질별 화상한계 “EN 563, .. 2023. 3. 7.
건조설비의 구조 등 건조설비로 인하여 발생되는 화재․폭발 등의 재해예방을 위해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건조설비의 구조 등 건조설비란?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80조(위험물 건조설비를 설치하는 건축물의 구조) 건조설비는 어떤 물체를 가열하여 건조하는 설비를 말하며, 산업안전보건법에서 말하는 건조설비는 다음과같다. • 위험물 또는 위험물이 발생하는 물질을 가열·건조하는 경우 내용적이 1m³ 이상인 건조설비 • 위험물이 아닌 물질을 가열·건조하는 경우로서 다음에 해당하는 설비 - 고체 또는 액체연료의 최대사용량이 10kg/hr 이상 - 기체연료의 최대사용량이 1m³/hr 이상 - 전기사용 정격용량이 10KW 이상 건조설비 종류 및 구조 "연소실"이라 함은 기체연료 또는 액체연료 .. 2023. 3.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