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 기술508

내화구조 개요 가스 또는 분진폭발위험 장소에 설치하는 건축물 등의 내화구조에 대한 기술적 사항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내화구조 개요 내화시공 방법은 콘크리트, 피복, 뿜칠, 도료, 판재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1인치는 약 1시간의 내화성능이 있으며, 콘크리트는 흡습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내부의 물이 기화, 팽창되어 내화콘크리트가 파손되어 내화기능이 떨어질 위험이 있으므로 발수기능이 있는 콘크리트로 시공하고, 외부에 도료 등을 칠하여 흡습을 예방하고, 평상시 균열이나 파손된 부분을 보수하여야 한다. 용어의 정의 “내화구조”라 함은 건축물의 기둥 및 보, 위험물 저장·취급 용기의 지지대 및 배관·전선관 등의 지지대가 화재 시 일정 시간 동안 강도와 그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말한다. “내화성능”이.. 2024. 4. 21.
무기화학제품 제조업 개요 무기화학제품 제조업을 광의적으로 해석하면, 유기화학제품 제조업을 제외한 모든 화학제품 제조업으로 해석할 수 있으나, 산재보험 상 무기화학제품 제조업(한국표준산업분류 상 기초무기화학물질 제조업)에 한정하여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무기화학제품 제조업 개요 무기화학 vs. 유기화학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화합물 그리고 이로부터 파생된 유도체에 관한 화학을 유기화학이라고 한다. 유기화학은 석유화학산업을 주축으로 체계적으로 발전해 왔다. 반면에 무기화학은 유기화학에서 다루지 않는 모든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무기화학은 118개의 원소 중 탄소를 제외한(또는 소량 포함하는) 모든 원소를 다루는 분야이다. 다시 말하면 그 영역이 매우 넓고 다양해서 구분이 어렵고, 분야를 세분화 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 하다. 무기화.. 2024. 4. 18.
전기기계·기구 취급 작업 안전관리 전기기계·기구라 함은 전기설비의 일부로 사용되 거나, 전기설비에 접속하는 피팅, 전기기구, 조명기구 등을 총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를 말한다. 전기기계·기구 취급 작업 안전관리 관련 법규 • 안전보건규칙 제38조(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서의 작성 등) • 안전보건규칙 제301조(전기기계ㆍ기구 등의 충전부 방호) • 안전보건규칙 제302조(전기기계ㆍ기구의 접지) • 안전보건규칙 제304조(누전차단기에 의한 감전 방지) • 안전보건규칙 제313조(배선 등의 절연피복 등) • 안전보건규칙 제315조(통로바닥에서의 전선 등 사용 금지) 전기기계·기구 분류 1. 전기기계 회전기계: 발전기, 전동기 등 2. 전기기계 정지기: 변압기, 용접기, 콘덴서 등 3. 베선기구: 누전차단기, 배선용 차단기, 퓨즈, 플러그, 콘센트 .. 2024. 4. 12.
컨베이어 안전관리 컨베이어란 재료ㆍ반제품ㆍ화물 등을 동력에 의하여 단속 또는 연속 운반하는 기계장치를 말하며, 주요구조부는 구동장치, 벨트, 체인 등 이송장치, 지지기둥 또는 지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컨베이어 안전관리 관련 법규 • 산업안전보건법 제89조(자율안전확인의 신고) • 산업안전보건법 제93조(안전검사) • 안전보건규칙 제35조(관리감독자의 유해ㆍ위험 방지 업무 등) • 안전보건규칙 제36조(사용의 제한) • 안전보건규칙 제87조(원동기ㆍ회전축 등의 위험 방지) • 안전보건규칙 제92조(정비 등의 작업 시의 운전정지 등) • 안전보건규칙 제191조(이탈 등의 방지) • 안전보건규칙 제192조(비상정지장치) • 안전보건규칙 제193조(낙하물에 의한 위험 방지) 유해ㆍ위험 요인 • 컨베이어의 틈새에 작업복 등이 말려.. 2024. 4. 1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