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 기술/화학설비76

건조설비 검사기준 「산업안전보건법」제36조제1항 및「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제28조의6에 따른 유해하거나 위험한 기계·기구·설비 중 건조설비 및 그 부속설비의 안전검사기준을 공유하고자 한다. 그러나 「산업안전보건법」전부개정(’20.1.16. 시행)에 따라 안전검사 대상에서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 건조설비 및 그 부속설비는 제외되었으나 현장에서 안전상 관리를 위해 포스팅하였다. 건조설비 검사기준 관련 법규 안전검사 고시 (고용노동부고시 제2016-43호) 제10장 건조설비 및 그 부속설비 제19조(정의) 이 장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건조”란 물질 중에 포함되어 있는 비교적 소량의 액체 또는 수분을 기화 분별하는 조작을 말한다. 2. “건조설비”란 건조에 사용되는 설비를 말한다. 3. “폭발압력방산.. 2022. 2. 5.
건조 설비 개요 건조란, 건조물에 열에너지를 투입하여 수분, 용액, 용제를 증발시키는 조작으로, 넓은 의미에서 피막의 고화 및 경화, 개질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건조 설비 개요건조물과 건조 방식 건조 작업의 대상이 되는 건조물은 종류 및 형태가 매우 다양하다. 우리를 둘러싼 일상 생황용품, 식품, 의료품, 화학공업제품, 전기제품, 건축재료, 자동차 등, 모든 산업 분야에 걸치는 크고 작은 건조 작업을 통틀어 말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건조 작업의 대상이 되는 건조물 형태는 액상, 점토, 덩어리, 박판, 분말, 정형, 시트 및 필름, 도막상 등 상당히 다양하며 취급 처리량도 작은 것은 1일 수 kg에서 큰 것은 시간당 수 톤, 혹은 수개에서 수만 개에 이르기까지 각 산업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또한 공급 .. 2022. 2. 5.
열교환기 개요 열교환기란 공정의 Flow를 구성하는 고정장치물의 일종으로서, 기· 액상의 원재료, 반제품, 제품인 유체가 포함하고 있는 열을 Tube 또는 Plate 의 형태를 지닌 전열면을 통해 Cooling Water, Air, 원재료, 반제품, 제품유체 상호간에 열전달을 일으켜 Heating, Cooling, Condensing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설비이다. 열교환기 개요 석유화학장치산업에서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이것은 효율적인 연소뿐만 아니라 열에너지의 효율적인 전달도 포함한다. Heater 에서 불을 땔 때에 유분으로 전달되는 열이 많으면 많을수록 전체 연료비는 적어지고, 특히 뜨거운 제품의 유체의 열을 찬흐름으로 효율적으로 전달해 주어야 제조원가를 낮출 .. 2022. 2. 5.
탑의 분류 탑의 분류 1. 용도에 의한 분류 1) 증류(정류)탑 증류탑은 다성분계의 원료를 가열한 후 탑의 중앙에서 하부의 적당한 위치에 넣고 증류, 정류를 행함을 목적으로 하며 증류탑, 정류탑, 분류탑, 증발탑, 스타빌라이저, 스트리퍼 등으로 불린다.. 증류조건의 온도는 최저 200℃정도에서 플러스 4~500℃까지 광범위하다. 압력은 상압(0~0.1 kg/㎠ G)으로 행하는 상압 증류, 감압(1~500 ㎜Hg Abs.)으로 행하는 감압증류(또한 감압도가 높은 경우에는 고감압법-High Vacuum 법이 있다.), 탑 내에 다량의 수증기를 흡인하여 미가압 또는 미감압으로 행하는 수증기 증류 혹은 상압․감압 증류법과․ 병행해서 수증기 증류법이 쓰인다. 또 비점이 낮은 원료를 취급할 경우에는 수 기압에서 수십 기압의 .. 2022. 2. 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