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 기술/공학기본125

휘발성(volatility) 정도 판정 기준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의 휘발성에 의해 그 유해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다. 금번에는 사용하고 있는 물질이 저/중/고 휘발성 물질인지 판정하는 기준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휘발성(volatility) 정도 판정 기준 휘발성(volatility) 상온에서 액체나 고체가 기체가 되어 날아가 버리는 성질로, 끓는점이 낮은 액체 연료나 유기용제, 방향족 화합물 등이 강한 휘발성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액체의 표면에서 분자가 떨어져 나오는 현상, 즉 증발이 잘 일어나는 물질이 휘발성이 강하다. 따라서 휘발성이 강하다는 것은 증기압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액체의 경우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 이상의 증기압을 지니지만, 액체 물질의 종류에 따라 증기압이 크게 달라지는데, 이는 극성이나 분자량에 따른 분자 간.. 2022. 7. 14.
감전의 기본 개념 감전이란 인체로 원하지 않는 전류가 통전되는 현상을 말하며, 금번 감전유형별 감전재해 예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감전의 기본 개념감전의 정의인체로 원하지 않는 전류가 통전되는 현상을 말하며, 인체의 생리적인 현상에 따라 다음과 같이 감전전류(교류 기준)를 구분한다.ㅇ 최소감지 전류 인체가 전류의 흐름을 느낄 수 있는 정도의 전류량 : 1[㎃]내외ㅇ 고통한계 전류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자력으로 감전상태를 벗어날 수 있는 전류량 : 10[㎃]내외ㅇ 마비한계 전류 의식은 있으나 자력으로 감전상태를 벗어 날 수 없는 전류량 : 20[㎃]내외ㅇ 위험상태 전류 순간적으로 생명에 위험을 주고 장시간 통전시 사망할 수 있는 전류량 : 50~100[㎃]ㅇ 심실세동 전류 심장맥동에 장애를 주고 수초 후 사망하는 전.. 2022. 7. 12.
용융도금업 특성 용융도금업의 대부분 사업장은 아연도금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일부 사업장은 알루미늄, 주석 도금을 사용한다. 용융도금업 특성 도금업은 기술의 다양성, 전문성 및 다품종 소량생산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타 산업에 비해 설비 투자비가 적고, 영세한 형태로 공장이 운영된다. 이 때문에 여러 업체가 난립하여 수주 과정에서 과다경쟁을 하면서 기술 개발보다는 가격 경쟁에 치중하고 있어 기술 발전이 정체되고 있다. 하지만, 도금업은 장식용 액세서리부터 현재 주력 수출품인 자동차, 반도체, 전자·통신분야 부품은 물론이고, 향후 미래 산업으로 지목되는 항공우주산업에 이르기까지 주요 핵심부품에 광범위하게 응용되는 분야이다. 용융도금업의 대부분 사업장은 아연도금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일부 사업장은 알루미늄, 주석.. 2022. 3. 28.
용융도금의 특성 용융도금은 도금하고자 하는 금속 용융액 속에 금속제품을 담궈 표면에 용융액이 부착된 후 꺼내면서, 피도금물보다 용융점이 낮은 금속 합금의 얇은 층을 입히는 데 사용하는 방식이다. 용융도금의 특성 도금이란 제품의 표면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다른 물질의 얇은 층으로 피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 또는 합금의 얇은 층을 입히는 것을 뜻하며, 처리방법에 따라 다음표와 같이 분류된다. 도금 처리방법의 종류 도금의 분류 용융도금의 역사 용융도금은 BC 1500년경 주석 도금에 처음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있고, 로마시대에는 금속용기에 사용하였다. 13~17세기에는 영국과 프랑스에서 철박판에 적용하여 주석판을 제조하였다. 이 기술은 1742년 프랑스의 화학자 P. J. Melouin이 철강에 용융아연을 입히는 데 시.. 2022. 3. 2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