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학 기술/공학기본125 캐비테이션과 NPSH 공동현상 또는 캐비테이션(cavitation)이란 유체의 속도 변화에 의한 압력변화로 인해 유체 내에 공동이 생기는 현상을 말하며 공동현상이라고도 한다. 공동현상은 빠른 속도로 액체가 운동할 때 액체의 압력이 증기압 이하로 낮아져서 액체 내에 증기 기포가 발생하는 현상이다. 캐비테이션과 NPSH 캐비테이션(cavitation) 캐비테이션은 유체의 증기압 보다 낮은 압력이 발생하는 다음 그림의 펌프 부위에서 발생한다. 캐비테이션 현상으로 발생한 기포의 임펠러 날개깃 후단에서의 붕괴 원심 펌프의 압력 증가 펌프의 흡입측에서 압력이 유체의 포화수증기압 보다 떨어지게 되면 (그림 2의 노란 점 부위) 작은 기포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이렇게 생성된 기포는 펌프의 압력이 상승하는 부위에서 붕괴되며 충격파를 발생하게.. 2023. 1. 9. Creep strength vs. Allowable stress 열가소성(Thermoplasic) tank thickness를 계산하는데 재료의 Allowable stress (σa)에 대한 수치 및 Creep strength (K) data가 필요하여 이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Creep strength vs. Allowable stress Creep strength (K) 재료가 항복 응력(yield stress)보다 크거나 같은 응력을 받으면 재료가 소성(plastically) 변형된다. 응력이 이 수준보다 낮으면 원칙적으로 탄성적(elastically)으로만 변형되어야 한다. 그러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면 응력이 항복 응력보다 낮은 경우에도 소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변형은 시간에 따라 달라지며 creep이라고 한다. 일정한 응력 하에서 하중을 가하.. 2022. 10. 12. 공기압 시스템 구성 공기압의 압력과 유량을 이용하여 일을 하는 기기를 공기압 기기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폭넓게 공기압 기기가 사용되고 있는 것은 산업기계이다. 산업계의 자동화, 에너지절감에 꼭 필요한 요소기기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공기압 시스템 구성 대기압 vs. 공기압 우리들이 살고 있는 지구는 공기로 둘러 쌓여 있고, 그 공기중의 산소는 동·식물이 살아가는데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 요소이다. 그러면 공기는 어느 정도 있을까. 공기는 해면에서 고도 수십 키로미터까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체적으로 보면 해수(海水) 보다도 상당히 많은 양이다. 실제로는 공기와 함께 구름 등이 수분과 장소에 따라 공기이외의 가스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것도 합쳐서 공기라 한다. 그러므로 정확하게 지구는 대기로 둘러 쌓여 .. 2022. 7. 17. 국제단위(SI단위) 압력, 힘·하중, 힘의 모멘트, 진공압, 관성모멘트, 운동에너지의 SI단위 환산에 필요한 표를 공유하고자 한다. 국제단위(SI단위) 주요 SI단위 참고값 1kgf/㎠ = 0.980665bar = 14.223393psi ①압력 MPa→kgf/㎠ (1MPa≒10.2kgf/㎠) ②힘・하중 N→kgf (1N≒0.102kgf) 2022. 7. 17.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3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