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정 및 화공안전/폭발위험장소 관리81 폭발위험장소 구분절차도 플랜트나 플랜트 설계의 간략한 조사만으로 플랜트 각 부분의 위험장소를 3종(0 종, 1종 또는 2종장소)으로 단순히 구분하는 것은 쉽지 않으므로, 폭발성 가스분위기가 생성될 가능성에 대한 정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인화성 가스나 증기가 생성될 수 있는 장소의 결정은 누출의 가능성과 누출 빈도를 연속 누출, 1차 누출 및 2차 누출 등급의 정의에 따라 평가한다. 폭발위험장소 구분절차도 위험장소의 종류 및/또는 범위에 영향을 주는 누출빈도와 주기(누출 등급), 누출률, 농도, 속도, 환기 또는 기타 요인이 결정되면 이것은 주변지역에서 폭발성 분위기가 생성될 가능성을 정해주는 확실한 근거가 된다. 일단 누출등급·누출률·농도·속도·환기 및 기타 요소들을 평가하고 그 주위의 폭발성가스 분위기의 존재확률을 평가하면 .. 2021. 1. 28. 폭발위험지역 구분 전기방폭의 기본 개념과 누출원 및 환기 특성, 폭발 위험장소에서의 전기/계장 기계·기구(이하 "전기설비"라 함) 선정과 관련된 이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폭발위험장소 설정에 관련된 이론, 즉 폭발방지의 기본개념과 원리, 폭발위험분위기 생성의 방지 메커니즘과 위험성 그리고 전기설비의 방폭화 방법과 폭발 위험장소의 누출량의 산정과 위험범위에 영향을 미치는 환기 특성 및 환기량 평가 산정하는 방법, 위험반경과 폭발 위험장소 구분하는 방법 등이 있다. 폭발위험장소(Hazardous area)는 "전기설비를 선정·설치·사용함에 있어 특별한 주의를 요구하는 폭발성 가스 위험 분위기가 조성되거나 조성될 우려가 있는 장소"를 말하며, 이러한 장소 는 위험 분위기의 발생 가능성, 즉 폭발성 가스 분위기의 생성 빈도와.. 2021. 1. 28. 폭발한계(인화한계) 와 농도 변환 화재나 폭발이 일어나기 위해서 세 가지 조건을 동시에 충족시켜야 한다. 이들을 연소의 3요소라 하며, 연료(가연성 가스)와 산소(공기)는 스파크나 불꽃과 같은 점화원과 함께 일정한 비율로 존재해야 한다. 필요한 연료와 산소 비율은 가연성 가스나 증기에 따라 다르다. 그리고 폭발 한계(인화 한계)는 농도로 표시되는데 각각의 단위가 달라 이를 적용하기 위해 적절한 농도로 환산이 필요하여 이에 대한 환산식을 공유하고자 하였다. 폭발한계(인화한계) 와 농도 변환 공기 중에서 연소를 가능하게 하는 필요한 특정 가연성 가스 또는 증기의 최소 농도(Minimum concentration)를 해당 가스에 대한 폭발 하한(Lower Explosive Limit, LEL)으로 정의한다. 이 수준 이하에서는 혼합물이 너무 .. 2021. 1. 10. 방폭관련 용어 정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사업장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 등에서 화재·폭발 방지를 위하여 폭발 위험지역 구분도를 작성하고 방폭설비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방폭에 관련된 용어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방폭 관련 용어 정의 방폭관련 법규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30조(폭발위험이 있는 장소의 설정 및 관리) ① 사업주는 다음 각 호의 장소에 대하여 폭발 위험장소의 구분도(區分圖)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산업표준화법」에 따른 한국산업 표준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가스폭발 위험장소 또는 분진폭발 위험장소로 설정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1. 인화성 액체의 증기나 인화성 가스 등을 제조ㆍ취급 또는 사용하는 장소 2. 인화성 고체를 제조ㆍ사용하는 장소 ② 사업주는 제1항에 따른 폭발 위험장소의 구분도를 작성ㆍ관리하여.. 2021. 1. 7. 이전 1 ··· 17 18 19 20 2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