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정 및 화공안전/위험성평가 및 사고예방

화재·폭발 위험장소에서의 정전기 위험성평가

by yale8000 2024. 5. 19.

화재·폭발 위험장소에서의 정전기 위험 관리로서 화재·폭발 발생 조건, 가연성 분위기의 생성 방지, 점화성 방전의 발생 방지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제목

 

 

화재·폭발 위험장소에서의 정전기 위험성평가

주요 용어의 이해

• 정전기 : 대전에 의해 얻어진 전하가 절연체위에서 더 이상 이동하지 않고 정지하고 있는 것

• 대전 : 어떤 물질이 +, - 전기를 띠는 현상

• 방전 : 대전체가 가지고 있던 전하를 잃어버리는 것

• 고유저항 :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물질의 고유한 성질로 전도도의 역수로 표시

• 전도도 : 도체의 물질에 전류가 흐르기 쉬운 정도를 나타내는 성질

• 점화 에너지 : 증기, 공기 혼합물이 점화되는데 필요한 최소 에너지는 농도에 따라 변화. 대부분의 물질에서 점화되는 최소 에너지는 연소하한과 연소상한 사이의 중간 농도지점에서 나타나는데 이 값을 최소 점화에너지 (MIE : Minimum ignition energy)라 함

 ※ 최소점화에너지는 입자크기, 농도, 온도, 압력, 수분 등의 인자에 따라 영향을 받고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을수록, 압력이 높을수록, 입자가 작을수록, 수분이 적을수록 최소착화에너지는 작아진다.

 

 

정전기로 인한 위험성 확인

• 정전기는 물체에 축적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위험성이 없으나 대전체가 방전하여 불꽃이 발생하였을 때 가연성물질에 착화하여 화재, 폭발이 발생한다.

• 인화성 액체에서 정전기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체 속도를 가능한 한 낮게 한다. 보통 전도도가 50pS/m 를 초과 하는 액체는 정전기가 축적이 되지 않지만 전도도가 작은 액체는 설계 시 유속의 조정 등 정전기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정전기를 제거하는 등의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

 

<표 1> 주요 액상 화학물질의 전도도 및 최소착화에너지

주요 액상 화학물질의 전도도 및 최소착화에너지

 

• 가연성 분진은 대부분 높은 고유저항을 갖는 부도체로서 정전기가 축적되며 축적된 정전기에너지가 가연성 물질의 최소 착화에너지보다 클 때 화재·폭발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 보통, 고유저항이 10^9 Ω·m 보다 작은 물질은 정전기 축적으로 인한 화재·폭발의 위험성이 적으나 고유저항이 10^9 Ω·m보다 큰 물질에 대해서는 정전기 대책이 필요하다.

• 주요 분체에 대한 고유저항과 최소착화에너지는 평균입경에 따라 값이 달라지므로 유의한다.

 

<표 2> 주요 분체의 고유저항 및 최소착화에너지

 

 

정전기 관리 방법

정전기 관리 방법

 

 

위험성평가 원칙 및 절차

화재·폭발 위험장소에서의 정전기 위험성평가는 다음과 같이 2단계로 수행하며, 기본절차는 다음 <그림 1>과 같다.

(1) 전하의 분리와 축적이 발생하는 장소 확인

(2) 해당 장소에서의 점화 위험성평가

정전기 위험성평가 기본절차

<그림 1> 정전기 위험성평가 기본절차

 

 

유해·위험요인 확인·조사 

화재·폭발 위험장소에서 위험성평가를 위한 유해·위험요인 확인·조사에서 접지 및 본딩(Bonding)의 기능을 저해할 수 있는 물질·설비나, 작업자를 포함한 접지되지 않은 도전성 물체를 확인한다.

  또한 위험성평가 시점에서 전하가 축적되었다는 증거가 없더라도 정전기가 축적될 수 있어 위험을 발생시킬 수 있는 수 있는 대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다음 사항을 준수한다.

가) 공정에서 취급·처리되는 절연물질은 특히 유의하고, 온도와 상대습도의 변화는 절연물질의 체적·표면 도전율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감안하여 안전한 수준으로 관리한다.

나) 현장에서의 육안검사를 원칙으로 하여 기계·설비의 운전조건 및 공정작업 등의 설계검토를 실시한다. 또한, 실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 위험성을 발굴·확인·조치하기 위해서 위험성평가는 공정 및 기계·설비 운전 중에 실시한다.

다) 효과적인 위험성평가를 위해 측정이 필요한 경우 측정장비에 의한 위험성을 고려해야 하는데, 전하의 축적 물체·장소에 측정장비를 접근시키면 대전 정전기가 측정장비로 방전될 수 있으므로, 정전기 대전물체를 측정하는 경우 측정장비의 응답속도를 모니터링 하면서 서서히 접근시킨다.

라) 기계·설비의 벨트나 풀리와 같은 물리적 위험성이 있는 장소 또는 해당 장소 근처에서 측정장비를 사용할 경우에는 적합한 안전작업지침에 따른다.

 

Reference : 1. KOSHA 연구보고서 정전기 화재·폭발 원인분석을 통한 안전관리 방안 마련

2. KOSHA 일터에서의 유해·위험 예방 조치 정전기 및 전자파로 인한 재해 방지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