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풍속 및 대기안정도2

사고영향분석 지원(e-CA) 프로그램 배경 PSM 고시에 정량적 위험성평가(피해예측)를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일반적으로 KOSHA에서 개발한 e-CA 프로그램을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어 금번 e-CA에 대한 배경 및 운용 방법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사고영향분석 지원(e-CA) 프로그램 배경관련 법규고용노동부고시 제2023-21호(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심사·확인 및 이행상태평가 등에 관한 규정)제28조(사고빈도 및 피해 최소화 대책 등) ① 사업주는 단위공장별로 인화성가스ㆍ액체에 따른 화재ㆍ폭발 및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대하여 각각 1건의 최악의 사고 시나리오와 각각 1건 이상의 대안의 사고 시나리오를 선정하여 정량적 위험성평가(피해예측)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별지 제19호의2서식의 시나리오 및 피해예측 결과에 작성하고 사업장 배치도 .. 2024. 11. 23.
시나리오 분석 조건 “사고시나리오”란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에서 화재, 폭발 및 유출ㆍ누출 사고로 인한 영향범위가 사업장 외부로 벗어나, 보호대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고를 의미한다. 취급시설에서 사용되는 동일 유해화학물질의 화재ㆍ폭발과 독성 시나리오 영향범위가 사업장 부지 경계를 벗어날 경우, 모두 사고시나리오로 선정한다. 시나리오 분석 조건 시설별 최대보유량 산정 “최대보유량”이란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에서 어느 순간이라도 기준함량 이상의 유해화학물질이 취급되거나 존재할 수 있는 유해화학물질의 체류최대 용량을 말한다. 다만 배관 내에서 체류하는 양은 제외한다. ① 시나리오는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단위설비를 대상으로 하되, 취급시설의 최대보유량은 취급시설의 설계용량과 취급되는 유해화학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성상 및 비중 .. 2021. 7.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