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절차서실행분석(PIA)2 기타 작업위험분석 수행 작업위험성분석(JRA)의 작업 목록표의 작업에 대한 위험성을 평가하여 위험성(Risk)이 7 미만으로 중요 작업이 아닌 일반 작업에 대해 기타 작업위험분석을 수행한다. 기타 작업위험분석은 절차서실행분석(PIA), 사전작업위험분석(PTA)의 2가지 기법에 대해 소개한다. 기타 작업위험분석 수행 1. 평가대상 및 적용기법 (1) 기타 작업위험분석은 작업위험성분석(JRA) 결과 위험성(Risk)이 7 미만으로 중요 작업이 아닌 일반 작업에 대하여 적용한다. 다만, 위험성 기준은 사업장 자체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2) 기타 작업위험분석은 작업의 위험성 파악을 위해 문헌에서 소개하는 등 사업장에서 개발, 활용하는 모든 종류의 분석기법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지침에서는 아래의 대표적인 2종류의 기법을 예시로.. 2021. 2. 7. 작업안전분석(JSA) 수행 작업위험성분석(JRA)의 작업 목록표의 작업에 대한 위험성을 평가하여 위험성이 7 이상인 경우를 중요작업(Critical job)이라 하고 이에 대해 작업안전분석(JSA)을 수행한다. JSA를 위한 작업단계 구분, 유해위험요인 파악, 단계별 안전작업절차 수립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작업안전분석(JSA) 수행 1. 평가대상 작업안전분석(JSA)은 작업위험성분석(JRA) 결과 중요 작업으로 선정된 작업에 대하여 실시한다. 2. 작업단계 구분 (1) 작업의 진행순서대로 단계를 구분한다. (2) 너무 자세하게 단계를 구분하거나 또는 너무 포괄적으로 단계를 구분하지 않는다. 은 차량의 바퀴 교환과 관련한 단계 구분의 예를 보여준다. (3) 각 작업단계는 작업의 변화가 있고 관찰 가능하도록 구분한다. (4) 각 .. 2021. 2. 7.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