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상조치계획2 PSM 이행상태 평가 시 주요 지적사항 PSM 이행상태 평가 시 14개 평가항목에 대한 주요 지적사항에 대해 요약한 내용을 다음과 같이 공유하고자 한다. PSM 이행상태 평가 시 주요 지적사항 이행평가 준비사항 공정안전보고서를 고용노동부 중대산업사고예방센터에 제출하면 실제 보고서 내용대로 되었는지 안전보건공단 전문위원들과 확인을 나오게 된다. 우선 신규 평가는 보고서 심사 완료 후 1년 이내에, 정기평가는 신규 평가 후 매 4년마다, 재평가는 사업장에서 원할 경우 요청한 날로부터 6개월 이내에 실시한다. 이행상태평가는 사업장 단위로 평가항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사업장의 규모가 크고 단위공장별로 공정안전관리체제를 구축·운영하고 있는 사업장에서 요청하는 경우에는 단위공장별로 이행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보고서를 이미 제출하여 평가를 받은 사업.. 2022. 6. 12. 사고 피해예측의 이해 화학물질의 취급과 사고대응에 있어, 설정된 가상사고 시나리오에 따른 누출, 화재, 폭발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이로 인한 복사열, 폭발압력, 누출로 인한 확산범위 및 피해를 사전에 평가하는 것이다. 피해 최소화 평가 결과는 비상조치계획에 활용되게 된다. 사고 피해예측의 이해 ● 화학사고의 유형 및 피해예측 내용 ● 피해로 인한 영향을 평가해야 하는 최대범위(끝점 : Ending Point) ▶ 독성물질인 경우 다음 중 하나 - 농도가 코드에서 규정한 농도(㎎/ℓ)에 도달하는 지점 - ERPG 2 수치(1시간 노출시 건강상의 이상이 없는 최고값) ※ ERPG(Emergency Response Programme Guideline : 미국 AIHA에서 정함) - IDLH(Immediately Dangerous t.. 2021. 2. 14.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