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관리감독자4

사업장 안전보건관리 체제 구축 사업주는 사업장에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안전한 기계·설비를 확보하는 등 유해·위험 요인으로부터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또한, 근로자에게는 법과 기준을 준수하고 사업주와 고용노동부 근로감독관, 안전보건공단 등이 실시하는 산업재해 예방에 관한 조치를 따라야 함을 명시하고 있다 . 결국, 안전하고 건강한 일터를 만드는 것은 사업주와 근로자가 각자의 위치에서 노력하고 협력해야만 이룩할수 있는 것이다. 사업장 안전보건관리 체제 구축 관련 법령 • 법 제14조(이사회 보고 및 승인 등) • 법 제15조(안전보건관리책임자) • 법 제16조(관리감독자) • 법 제17조(안전관리자) • 법 제18조(보건관리자) • 법 제19조(안전보건관리담당자) • 시행령 제15조(관리감독자의 업무 .. 2022. 4. 5.
관리감독자 업무 “관리감독자”란 사업장의 생산과 관련되는 업무와 그 소속 직원을 직접 지휘ㆍ감독하는 직위에 있는 사람으로서 산업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업무를 한다. 관리감독자의 업무 관련 법규 산업안전보건법 제16조(관리감독자) ① 사업주는 사업장의 생산과 관련되는 업무와 그 소속 직원을 직접 지휘ㆍ감독하는 직위에 있는 사람(이하 “관리감독자”라 한다)에게 산업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업무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여야 한다. 관리감독자의 업무 등 상기 산안법 제16조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업무”는 다음 시행령 참조.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15조(관리감독자의 업무 등) ① 제16조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업무”란 다음 각 호의 업무를 말한다. 1. 사업장 내 관리감독자가 지휘ㆍ감독하는 .. 2021. 11. 4.
산안법 안전보건관리 조직 등 사업주는 사업장의 안전 및 보건을 유지하기 위하여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관리조직과 그 직무에 관한 사항 등이 포함된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 한다. 산안법 안전보건관리 조직 등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를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행하기 위해서 직위에 맞는 안전보건관리체계에 따라서 그에 따른 업무를 구분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관리 조직 사업주 → 안전보건 관리책임자/ 안전보건총괄 책임자 → 관리감독자 → 근로자 사업주,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및 관리감독자 안전 또는 보건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에 관하여 지도ㆍ조언 :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산업보건의,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안전관리전문기관 또는 보건관리전문기관 산업안전보건관리 체계도 안전보건관리책임자(법 15조) - 사업장을 실질적으로 총괄하여 관리하는 사람.. 2021. 8. 21.
안전·보건교육 면제제도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안전. 보건교육은 필수사항이다. 그러나 사업주 및 근로감독자 등에 대해 근로자 정기교육 등에 대한 면제제도가 있어 공유하고자 한다. 안전·보건교육 면제제도 사업주 전년도에 산업재해가 발생하지 않은 사업장의 사업주의 경우 근로자 정기교육을 그 다음 연도에 한정하여 실시기준 시간의 100분의 50까지의 범위에서 면제 가능 근로자건강센터에서 실시하는 안전보건교육, 건강상담, 건강관리 프로그램 등 근로자 건강관리 활동에 해당 사업장의 근로자를 참여하게 한 때에는 해당 시간을 해당 분기의 근로자 정기교육 시간에서 면제 가능 근로자가 채용 또는 변경된 작업에 경험이 있을 경우 채용 시 교육 또는 특별교육 시간을 다음 기준에 따라 실시 가능 관리감독자 관리감독자가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교육을 .. 2021. 3.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