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 기술512

주철(cast iron) vs. 주강(cast steel) 주물재료에는 주철, 주강, 동합금, Al합금, Zn합금 등이 있으며, 주물의 사용목적에 따라 알맞는 금속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하고, 주조시에 생기는 성분의 증감과 변화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 주철(cast iron) vs. 주강(cast steel) 주철(鑄鐵; cast iron) 주철은 강도는 다소 낮으나, 주조성이 좋고, 값이 싸며, 기계가공성이 좋아 널리 사용된다. 주철에는 주조시에 흑연이 석출하여 파단면이 회색인 회주철(灰鑄鐵; grey cast iron)과 흑연의 존재가 적은 백주철(白鑄鐵; white cast iron)이 있으며, 이 두 가지의 중간에 속하는 반주철(斑鑄鐵; mottled cast iron)이 있다. 최근에는 회주철의 강도도 많이 향상되었고, 구상흑연주철(球狀黑鉛鑄鐵) 등.. 2022. 1. 25.
부동태 (Passivation) 개요 물리 화학 및 공학에서 不動態 (Passivation)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금속 마감 공정이다. 스테인리스강에서 부동태 공정은 질산 또는 구연산을 사용하여 표면에서 free iron을 제거하는 것으로, 화학적 처리는 공기와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부식을 일으킬 가능성이 적은 보호 산화물 피막, 즉 부동태 피막(Passive layer)을 만드는 것이다. 부동태 (Passivation) 개요 Passive state (부동태 상태)란 일반적으로 용해 또는 부식되는 용매에 의해 손상받지 않는 물질의 상태를 말한다. 예를 들면, 강질산에 존재하는 철은 손상받지 않는 부동태 상태라 할 수 있다. 이 특별한 경우는 자성 산화물(magnetic oxide)의 코팅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고, 근본적인 .. 2022. 1. 23.
금속표면 전처리(도금) 금속표면을 처리하여 부식을 방지하는 방식성, 색채 및 광택을 향상시키는 장식성, 경도, 내마모성, 내열성 등을 향상시키는데 이를 하기 전에 전처리가 필요하여 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금속표면 전처리(도금) 금속표면 전처리 목적 표면 처리의 중요한 목적은 다음과 같다. ① 소지면을 불활성화(안정화)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킨다. ② 소지면에 부착, 생성된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도료의 밀착성을 높인다. ③ 소지면과 도료의 찬화력(affinity)과 습윤성(wetting)을 준다. ④ 소지면의 돌출부를 제거하여 소지면을 평탄하게 한다. 그러나 여기서 우리는 소지면에 이물질이 왜 부착하며 생성하는가, 또 그 이물질이란 어떤 물질인가 하는 것을 알지 못하면, 바라는 표면 처리의 목적을 달성치 못할 것이다. .. 2022. 1. 22.
금속표면처리 종류 금속표면처리는 부식을 방지하는 방식성, 색채 및 광택을 향상시키는 장식성, 경도, 내마모성, 내열성 등을 향상시키는 기능부여 등을 근본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다. 금속표면처리 종류 금속표면처리의 종류에는 도금, 화성처리, 양극산화, 도장, 라이닝, 표면경화, 코팅 등이 있다. 도금(Plating) 금속의 표면이나 비금속 표면에 다른 금속을 사용하여 피막을 만드는 처리이며, 처리방법으로서는 전기도금, 화학도금, 용융도금, 진공도금, 침투도금, 이온도금 등이 있다. - 도금시 저전류밀도에서는 결정의 성장속도가 커서 거친도금이 되고, 적당한 전류밀도에서는 미세한 결정의 미려한 도금이 된다. - 고전류밀도에서는 음극부근의 이온농도 저하로 결정성장이 비교적 농도가 큰 부분에서만 일어나, 수지상 결정이 생기며, 과고.. 2022. 1.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