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 기술512

부식 방지 대책 화학설비 또는 그 배관은 위험물질 등에 의하여 그 부분이 부식되어 폭발·화재 또는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험물질 등의 종류·온도·농도 등에 따라 부식이 잘 되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거나 도장(塗裝)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부식 방지 대책 사업주는 화학설비 또는 그 배관(화학설비 또는 그 배관의 밸브나 콕은 제외한다) 중 위험물 또는 인화점이 60 ℃ 이상인 물질(이하 “위험물질등”이라 한다)이 접촉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위험물질 등에 의하여 그 부분이 부식되어 폭발·화재 또는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험물질 등의 종류·온도·농도 등에 따라 부식이 잘 되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거나 도장(塗裝)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부식 방지 개요 반응기, 증류기 등의 화학설비나 이들의 배관에는 각종의 .. 2022. 4. 16.
개스킷 선정 및 관리 “개스킷 (Gasket)”이라 함은 플랜지와 플랜지를 체결할 때 접합부에서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개스킷(Gasket) 선정 및 관리 관련 법규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57조(덮개 등의 접합부) 사업주는 화학설비 또는 그 배관의 덮개ㆍ플랜지ㆍ밸브 및 콕의 접합부에 대해서는 접합부에서 위험물질등이 누출되어 폭발ㆍ화재 또는 위험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개스킷(gasket)을 사용하고 접합면을 서로 밀착시키는 등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433조(누출의 방지조치) 사업주는 관리대상 유해물질 취급설비의 뚜껑ㆍ플랜지(flange)ㆍ밸브 및 콕(cock) 등의 접합부에 대하여 관리대상 유해물질이 새지 않도록 개스.. 2022. 4. 15.
용융도금업 특성 용융도금업의 대부분 사업장은 아연도금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일부 사업장은 알루미늄, 주석 도금을 사용한다. 용융도금업 특성 도금업은 기술의 다양성, 전문성 및 다품종 소량생산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타 산업에 비해 설비 투자비가 적고, 영세한 형태로 공장이 운영된다. 이 때문에 여러 업체가 난립하여 수주 과정에서 과다경쟁을 하면서 기술 개발보다는 가격 경쟁에 치중하고 있어 기술 발전이 정체되고 있다. 하지만, 도금업은 장식용 액세서리부터 현재 주력 수출품인 자동차, 반도체, 전자·통신분야 부품은 물론이고, 향후 미래 산업으로 지목되는 항공우주산업에 이르기까지 주요 핵심부품에 광범위하게 응용되는 분야이다. 용융도금업의 대부분 사업장은 아연도금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일부 사업장은 알루미늄, 주석.. 2022. 3. 28.
용융도금의 특성 용융도금은 도금하고자 하는 금속 용융액 속에 금속제품을 담궈 표면에 용융액이 부착된 후 꺼내면서, 피도금물보다 용융점이 낮은 금속 합금의 얇은 층을 입히는 데 사용하는 방식이다. 용융도금의 특성 도금이란 제품의 표면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다른 물질의 얇은 층으로 피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 또는 합금의 얇은 층을 입히는 것을 뜻하며, 처리방법에 따라 다음표와 같이 분류된다. 도금 처리방법의 종류 도금의 분류 용융도금의 역사 용융도금은 BC 1500년경 주석 도금에 처음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있고, 로마시대에는 금속용기에 사용하였다. 13~17세기에는 영국과 프랑스에서 철박판에 적용하여 주석판을 제조하였다. 이 기술은 1742년 프랑스의 화학자 P. J. Melouin이 철강에 용융아연을 입히는 데 시.. 2022. 3. 2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