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학 기술510 펌프의 양정(H) 펌프에서 양정(揚程)은 펌프가 물을 끌어올리는 높이를 의미한다. 펌프에는 흡입측과 토출이 있다. 양정은 펌프의 토출에서 밀어올릴 수 있는 높이를 의미한다. 본 내용은 태진에프티 기술자료에 수록된 내용이다. 펌프의 양정(H) 양정이란 펌프가 얼마나 높이 액체를 끌어 올릴 수 있는 가를 나타내는 수치로서 일반적으로 미터(m)로 표시된다. 양정(H) vs. 압력(p) 아래의 공식은 압력(p)과 양정(H)사이의 관계를 보여 준다. H = p / ( ρ·g ) 여기서, H: 양정 [m] p:압력 [Pa = N/m²] ρ: 액체의 밀도[kg/m³] g : 중력가속도 [m/s²] 일반적으로, 압력 p는 [bar]로 표시하며 1 bar는 10⁵ Pa 과 같다. 다른 압력 단위는 표 1 참조 압력 단위의 환산표 압력과 .. 2023. 1. 11. 캐비테이션과 NPSH 공동현상 또는 캐비테이션(cavitation)이란 유체의 속도 변화에 의한 압력변화로 인해 유체 내에 공동이 생기는 현상을 말하며 공동현상이라고도 한다. 공동현상은 빠른 속도로 액체가 운동할 때 액체의 압력이 증기압 이하로 낮아져서 액체 내에 증기 기포가 발생하는 현상이다. 캐비테이션과 NPSH 캐비테이션(cavitation) 캐비테이션은 유체의 증기압 보다 낮은 압력이 발생하는 다음 그림의 펌프 부위에서 발생한다. 캐비테이션 현상으로 발생한 기포의 임펠러 날개깃 후단에서의 붕괴 원심 펌프의 압력 증가 펌프의 흡입측에서 압력이 유체의 포화수증기압 보다 떨어지게 되면 (그림 2의 노란 점 부위) 작은 기포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이렇게 생성된 기포는 펌프의 압력이 상승하는 부위에서 붕괴되며 충격파를 발생하게.. 2023. 1. 9. 화관법 검지 및 경보체계 유해화학물질에 따른 누출, 폭발 또는 화재를 미리 감지하기 위하여 액체 또는 기체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에는 검지 및 경보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화관법 검지 및 경보체계 관련 법령 및 행정규칙 「유해화학물질 제조·사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고시(화학물질안전원고시 제2019-4호)」 제8조(검지·경보설비) 유해화학물질에 따른 누출, 폭발 또는 화재를 미리 감지하기 위하여 검지·경보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폭발성 물질 또는 인화성 물질을 제조·사용하는 시설 중 「산업표준화법」의 한국산업표준에 따른 0종 또는 1종 폭발위험장소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타법에서정하는 기준에 따라 방폭구조 전기기계·기구를 설치한 시설의 경우 2. 검지·.. 2022. 12. 8. 수소 설비안전 수소는 화재, 폭발 위험, 액화수소의 저온화상(동상), 누출에 의한 질식위험이 있어 이에 대한 수소 관련 설비 설계의 고려가 필요하여 다음과 같이 공유하고자 한다. 수소 설비안전 수소 저장설비 • 저장탱크는 지상에 설치하며 부등침하가 일어나지 않는 고정기초 위에 불연재료의 지지대를 사용 ※ 상부에 설치된 전력케이블이 파손되어 수소저장설비가 손상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는 피한다. • 수소저장설비는 인화성 액체 및 산소를 포함한 산화성 물질의 배관 또는 다른 가연성 가스 배관과 인접하여 설치 금지 • 수소저장설비와 인화성액체 저장시설이 인접해 있을 경우에는 수소저장설비를 인화성 액체 저장시설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 ※ 단, 인화성 액체 저장시설에 방유제를 설치하고 바닥을 경사지게 하여 인화성 액체가 수소저.. 2022. 11. 29. 이전 1 ··· 58 59 60 61 62 63 64 ··· 128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