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학 기술509 Steam 압력별 온도 산업현장에서 에너지 열원으로 대부분 Steam을 사용하고 있고, 그때의 Steam은 에너지 효율적 차원에서 포화증기(Saturated Steam)가 사용된다. 또한 사용처에서 필요한 온도에 도달하기 위해서 Steam의 압력을 변화시켜 조정하는데 이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Steam 압력별 온도 스팀의 물리적 성질 온도가 증가하고 물이 비등 조건에 가까워지면서 분자들은 순간적으로 액체를 탈출하여 표면 위의 공간으로 진출할 수 있는 속도를 얻기에 충분한 운동 에너지를 확보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열은 액체를 떠날 수 있는 충분한 에너지를 가진 분자의 수를 증가시킨다. 물이 그 비등점까지 가열되면서 스팀의 거품은 자체적으로 형성되어 표면을 뚫고 나가기 위해 상승하게 된다. 액체와 기체의 분자 구조를 .. 2023. 11. 29. 제어풍속 vs. 반송속도 “국소배기장치” 라 함은 발생원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질을 후드, 덕트, 공기정화장치, 배풍기 및 배기구를 설치하여 배출하거나 처리하는 장치를 말한다. 제어풍속 vs. 반송속도 “유해물질” 이라 함은 작업환경을 오염시키는 물질로서 가스, 증기 등 기체상물질과 미스트, 흄, 분진 등 입자상 물질을 말한다.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국소배기장치 등을 설치하는데 제어풍속, 반송속도를 법적 기준에 충족되도록 설계하여하 나다. 제어풍속 vs. 반송속도 “제어풍속” 이라 함은 후드 전면 또는 후드 개구면에서 유해물질이 함유된 공기를 당해 후드로 흡입시킴으로써 그 지점의 유해물질을 제어할 수 있는 공기속도를 말한다. 다만, 포위식 및 부스식 후드에서는 후드의 개구면에서 흡입되는 기류의 풍속을 말하며, 외부식 및 레시버식.. 2023. 11. 15. 화재·폭발 구분 및 물질 특성 화학설비에서 발생가능한 주요한 사고의 형태는 화재, 폭발 및 독성물질 누출로 구분되며 이러한 형태의 사고를 중대산업사고로 정의하게 된다. 화재·폭발 구분 및 물질 특성 화재와 폭발의 구분 화재와 폭발을 구별하기 위한 주된 차이점은 에너지 방출속도의 차이이다. 화재는 에너지를 느리게 방출하나, 폭발은 일반적으로 에너지를 마이크로 초(Micro sec) 차원으로 아주 빠르게 방출한다. 따라서 화재와 달리 폭발사고는 순간적으로 피해를 주기 때문에 대피할 여유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사업장에서 사고 발생시 화재와 폭발을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가 간혹 있다. 많은 사람들이 화재는 개방계에서, 폭발은 밀폐계에서만 일어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개방계 증기운폭발(UVCE, Unconfined Vapor Cloud Ex.. 2023. 11. 11. 가스누출감지경보기의 경보설정 산안법, 화관법 및 고압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가스누출감지경보기의 경보설정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가스누출감지경보기의 경보설정 산업안전보건법(KOSHA GUIDE) 1. 인화성 가스누출감지경보기의 경보설정 (1) 감지대상 가스의 폭발하한값 25 % 이하에서 경보가 발하여지도록 설정하여야 한다. (2) 2개 이상의 경보 설정형인 경우에는 1차(High) 경보는 폭발하한계의 25 % 이하에서, 2차(High high) 경보는 폭발하한계의 50 % 이하에서 경보를 설정하여야 하며, 필요시 차단밸브 등 다른 안전장치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인화성 가스누출감지경보의 정밀도는 경보 설정값에 대하여 ±25 % 이하이어야 한다. 2. 독성 가스누출감지경보기의 경보설정 (1) 설비의 결함, 오작동 등으.. 2023. 10. 27.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128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