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학 기술508 반응기(Reactor)의 운전 반응장치는 반응에 관여하는 물질들을 목적하는 물질로 변환하도록 하는 장치이므로 화학공업에서는 중심적인 장치라고 할 수 있다. 반응기(Reactor)의 운전 반응장치는 반응하는 물질의 상(phase), 반응속도, 반응조건(온도, 압력, 조성, 유량), 조작방법(회분 또는 연속), 물질 및 열의 이동 방법, 단위시간에 대한 생산량 등에 의하여 그 모양이나 크기가 결정되므로 반응장치의 형태 및 종류는 아주 다양하다. [그림 1] 반응장치는 반응하는 물질(원료)들이 그 안에서 목적하는 화합물로 전환하도록 제작된 용기로서 반응을 촉진, 통제하여 반응조건을 유지할 수 있는 장치와 여러 가지 계측장치가 부착된 장치이다. ☞ 하기의 반응기에 대한 안전 및 부속설비 참조 반응장치는 소기의 성능은 물론이고 안정된 조업을 .. 2021. 3. 17. 공정도면 개요 공정도면은 공정흐름도(PFD), 공정⋅배관 계장도(P&ID), 유틸리티 계통도(Utility Balance Diagram), 유틸리티 배관 공정도(UFD) 등을 의미하는데 공정을 이해하는 기본이 되는 도면이다. 공정도면 개요 공정 개요(Process Description) 공정 개요는 단위공정(Unit Process) 별로 화학반응식, 처리방법을 구체적으로 간단하게 기술하되 다음의 사항들이 필히 포함되어야 한다. 공정 개요의 주요 내용 • 운전조건(온도⋅압력등) • 반응 조건(온도⋅압력 등) • 반응열(kcal/k-mole) • 이상반응 여부 및 그 대책 • 이상 발생(Emergency) 이상 발생(Emergency) 시의 인터록 및 Shutdown 조건 등 공정흐름도(Process Flow Diagra.. 2021. 3. 16. 계장(Instrument) 설계 컴퓨터의 발달로 인해 계장 기술이 획기적으로 진보되어 공장 운전의 안전성과 효율성에 많은 기여를 하게 되었다. 계장설비는 항상 타부분 설계와 관계가 있어서 독립적인 설계는 불가능하므로 플랜트 건설의 계획단계에서부터 시운전까지 계장설계에 대한 업무가 지속되어야 한다. 계장(Instrument) 설계 토지조성비를 제외한 공장 전체건설비중 계장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대규모 플랜트에서 6~8%, 비교적 소규모적인 플랜트에서 7~10%, 특수한 경우일지라도 대체로 15% 이하이다. 계장비의 내역은 일반적으로 계기 본체의 비용이 60~70%를 차지하고 공사 자재비 20~30%, 노임 10~15%, 기타 2~5% 정도를 점유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노임이 점하는 비율이 점차 상승하는 실정에 있다. 이와 같이 계장 공사비.. 2021. 3. 14. 스크러버(세정기) 설계 시 고려사항 스크러버(Scrubber)는 독성물질(염화수소 등)을 처리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흡수 처리는 기체와 액체가 향류 또는 병류로 접촉하게 하여 폐가스로부터 특정 성분을 흡수액에 흡수시키는 공정을 말한다. 스크러버(세정기) 설계 시 고려사항 스크러버 개요 스크러버(Scrubber)는 독성물질(염화수소 등)을 처리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흡수처리는 기체와 액체가 향류 또는 병류로 접촉하게 하여 폐가스로부터 특정 성분을 흡수액에 흡수시키는 공정을 말한다. 보통 기체와 액체가 향류로 접촉되지만 병류와 교차 흐름도 가능하다. 흡수 처리에 사용되는 흡수장치는 주로 4가지(충진탑, 다단탑, 분무탑, 벤추리)이며, 다음은 스크러버 일반 구조도이다. 유해·위험 요인 스크러버는 위험물을 처리하는 데 기체와 액체를 향류 또는.. 2021. 3. 9. 이전 1 ···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12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