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학 기술/계산사례(ENG)

배기량 및 흡기량 계산

by yale8000 2021. 9. 4.

상압저장탱크에는 과압 이나 진공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배기나 흡기를 위한 통기관이 필요하다.

금번 통기관 등 설계를 위한 배기량 및 흡기량 계산 사례를 공유하고자 한다.

 

제목

 

 

상압저장탱크 배기량 및 흡기량 계산 

 

과압이나 진공의 주요 원인은 로딩(하역)/언로딩(출하)에 의한 액체의 유입/배출계절에 따른 온도변화, 외부화재 등이 있다.

외부화재의 경우에는 통기관으로는 충분히 배출할 수 없으므로 긴급통기설비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한다.

통기관과 긴급통기설비의 크기를 계산하기 위해서 액체의 이동, 온도변화에 따른 배기량 및 흡기량과 외부화재에 의한 배기량을 계산하여야 한다.

 

로딩작업과 온도변화에 의한 배기량 계산식

 

배기량은 로딩작업에 의한 배기량과 온도변화에 의한 배기량을 계산한 후 합산하여 구할 수 있다.

 

로딩작업 시 배기량은 다음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식

위의 식은 증기압이 5 kPa 이하인 경우에 사용하며 증기압이 5 kPa보다 큰 경우에는 위에서 계산된 값의 두 배를 사용한다.

 

온도변화에 의한 배기량은 다음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식

Y 계수는 위도에 따라 따라 결정되며 <표 1>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표 1> Y factor for various latitudes

인자

 

 

언로딩 작업과 온도변화에 의한 흡기량 계산식

 

흡기량은 언로딩 작업과 온도변화에 의한 흡기량을 합산하여 계산된다.

 

언로딩 작업에 따른 흡기량은 다음 식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식

온도변화에 따른 흡기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식

C 계수는 위도, 증기압 및 평균저장온도에 따라 결 정되며 <표 2>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표 2> C factor

인자

 

 

외부화재 시 배기량 계산식

 

탱크 주변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저장중인 톨루엔의 증기압이 증가되어 많은 양이 증발되기 때문에 로딩 및 온도 변화에 의한 배기량보다는 훨씬 많은 배기량이 필요할 것이다.

 

외부화재 시의 배기량은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식

 

 

식

 

위의 식은 외부화재 시 안전밸브의 배출용량을 구하는 식과는 형태가 다르지만 증발잠열과 입열량이 필요하고 입열량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액체 접촉면적을 계산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식이라고 볼 수 있다.

외부화재에 의한 인입열은 <표 3>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수직탱크에 대한 접촉면적(ATWS)은 바닥부터 9.14 m의 높이까지의 수직 동체의 면적과 같다.

 

<표 3> Heat input(Q)

인입열

 

 

계산 사례

 

내부부상지붕탱크의 명세는 <표 4>와 같다.

 

<표 4> Tank specification

설비명세

탱크에서 저장하는 물질은 일반적으로 용제로 많이 사용되는 톨루엔으로 가정하였다. 톨루엔의 물성은 <표 5>와 같다.

 

<표 5> Properties of toluene

물성

 

배기량과 흡기량 계산 결과

 

평균저장온도 25℃에서 7,000 ㎥ 의 톨루엔 탱크에 대한 배기량과 흡기량을 계산하면 각각 1,924 ㎥/hr과 4,195 ㎥/hr이다.

 

외부화재 시 배기량 계산 결과

 

이를 통해 접촉면적 861 ㎡, 인입열 4,129.7 kW를 계산할 수 있으며 톨루엔의 증발잠열 412 kJ/kg을 이용하여 외부화재 시 배기량 18,560 ㎥/hr을 구할 수 있다.

 

외부화재 시 배기량이 로딩 및 온도변화에 의한 배기량보다 훨씬 많음을 알 수 있다.

 

Reference : 한국안전학회지, 제34권 제4호, 2019년(사고사례 정밀분석을 통한 상압저장탱크의 안전에 관한 연구)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