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
-
압력용기 안전 인증 대상
압력용기의 종류, 용도, 취급 유체 등에 따라 적용되는 법규가 다르므로, 소관 기관에 문의하여 정확한 적용 법규를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압력용기 안전 인증 대상법규에 따른 적용 여부압력용기의 안전 인증은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관련 법규 및 인증기관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고용노동부의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안전인증(또는 안전검사)과 한국가스안전공사의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에 따른 특정설비 등록 및 검사가 대표적이다.1.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압력용기대상: 내경 150mm를 초과하고, 게이지압력 0.2MPa(2kgf/㎠)을 초과하는 화학공정 유체 취급용기 또는 1MPa를 초과하는 공기/질소 취급 용기. 인증/검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
2025.09.24
-
kW vs. kVA vs. kVAr
변압기, 모터 및 기타 전기 장비의 크기를 올바르게 결정하려면 kW(유효 전력), kVA(피상전력) 및 kVAr(무효 전력) 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kW vs. kVA vs. kVAr용어의 정의1. kW(유효 전력, P)kW는 부하가 실제 일을 하는 데 소비하는 유효 전력의 단위이다 . 시스템에서 소비되는 유효 전력은 유효 전력 또는 평균 전력이라고도 한다. 전력 삼각형에서 문자 P로 표시된다.2. kVA(피상 전력, S)kVA는 전기 장비 작동을 위해 공급원에서 소비되는 피상 전력이다. 전기 장비는 자화 전류 요구량을 충족하기 위해 무효 전력을 소비한다. 전력 삼각형에서 문자 S 로 표시된다. 3. kVAr(무효 전력, Q)무효전력은 부하에 저장되었다가 복귀되는 전력으로, ..
2025.09.05
-
비상발전기 용량 산정 기준 및 계산 사례(2025)
비상전원(Emergency power)은 상용전원이 사고나 고장에 의해 공급되지못할 경우에 사용하기 위한 전력공급원으로, 일반적으로 비상발전기, 축전지 설비,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등이 있고, 금번에 최근 산안법에서 요구하는 비상발전기 용량 산정 기준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비상발전기 용량 산정 기준 및 계산 사례(2025)발전기 용량 ① 발전기 용량을 산정할 때에는 관계 법령에서 정하고 있는 부하의 용량 및 공급시간 등을 검토하여 계산하여야 한다. ➁ 발전기 용량은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12조에서 정하고 있는 기준을 충족하여야 한다. ➂ 발전기 용량은 해당 건축물에서 발전기 연결 부하의 특성을 고려하여 조정할 수 있으며, 화재 및 예고 없는 정전 시에도 소방 및 비상부하 ..
2025.09.04
-
열역학 주요 과정
열역학 과정(熱力學過程, thermodynamic process)은 열역학 제1법칙(에너지 보존 법칙)에 따라 기체가 외부의 환경에 영향을 받으면서 그 상태가 변화하는 과정이다. 열역학 주요 과정주요 열역학 과정에는 압력이 일정한 등압 과정, 부피가 일정한 등적 과정, 온도가 일정한 등온 과정, 외부와 열 교환이 없는 단열 과정 등이 있다. 용어의 개념Process의 표현을 위해서 초기(initial) 상태와 마지막(final) 상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나타나야 하며 또한 그 Process에 나타나는 Path 및 외부 환경과의 interaction도 표현되어야 한다. - 과정(Process)은 어떠한 평형을 이루는 system이 다른 상태로 변환하는 과정의 열역학적 표현이다.- 길(Path)은 일련..
2025.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