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ndividual risk2 정량적 위험성평가의 수행 방법(4) 정량적 위험성평가 수행은 (1) 위험요소 확인(Hazard identification), (2) 피해예측 분석(Consequence analysis), (3) 사고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 (4) 위험성 척도 계산 및 표현(Risk measure & Presentation)의 절차로 수행한다. 금번은 위험성 척도 계산 및 표현(Risk measure & Presentation)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위험성 척도 계산 및 표현(Risk measure & Presentation) 위험성 척도 계산 및 표현 개요 Risk는 손실 또는 상해의 가능성 및 크기라는 관점에서 경제적인 손실 또는 인간의 상해의 척도로서 정의할 수 있다. 손실 또는 상해의 가능성 및 크기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3.. 2023. 7. 17. 개인적 위험 vs. 사회적 위험 개인적 위험(Individual risk)은 위치 기반 위험(Location-based risk)이라고도 하며 개인적 위험을 위험원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개인이 노출되는 위험으로 정의한다. 사회적 위험(Societal or group risk)은 한 무리의 사람들이 동시에 사고의 결과에 노출되는 위험을 나타낸다. 사회적 위험과 위치 기반 위험의 기준은 서로를 보완하는 데 사용된다. 개인적 위험 vs. 사회적 위험 개인적 위험(위치 기반 위험) : Location-based (individual) risk 개인적 위험'(Location-based (individual) risk)이라는 용어는 정량적 위험 기준과 관련하여 자주 사용된다. DS/INF 85는 개인적 위험을 위험원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개인이 노출.. 2021. 3. 15.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