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가지 핵심요소2 위험요인 파악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을 위한 7가지 핵심요소 중 위험요인 파악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7 가지 핵심요소; 1. 경영자 리더십 2. 근로자의 참여 3. 위험요인 파악 4. 위험요인 제거 · 대체 및 통제 5. 비상조치 계획 수립 6. 도급 · 용역 ·위탁 시 안전보건 확보 7. 평가 및 개선 위험요인 파악 산업재해 예방은 위험요인 파악에서 시작한다. 위험요인과 위험의 정도를 제대로 알고만 있어도, 경각심을 가지고 작업할 수 있다. 위험요인에 대한 정보 수집 및 정리 - 경영자·관리자는 현장 작업자의 참여를 바탕으로 위험요인 발굴 - 위험요인 발굴·신고 절차 마련 - 하청업체, 파견업체, 공급·판매업체 및 고객도 사업장 내 위험요인을 신고·제보 산업재해 및 아차사고 조.. 2023. 9. 14.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방안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이행’이란 일하는 사람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기업 스스로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제거·대체 및 통제방안을 마련·이행하며, 이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일련의 활동을 말한다.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방안 경영자의 기본적인 의무 안전한 환경에서 근무할 수 있는 권리는 헌법이 보장하는 기본권이며, 중대재해가 발생하면 어떠한 방법으로도 돌이키기 어렵다. 근로계약 등에 안전보건에 관한 특별한 내용이 없더라도 사용자에게는 근로자의 생명· 신체·건강을 보호할 포괄적 의무(안전배려의무)가 있다. 안전은 비용이 아닌 투자이며, 경영의 일부이다. 산업재해가 발생하면 심각한 작업 차질과 함께 품질, 생산성 및 기업 이미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안전보건관리는 경영자의 기본 업무인 동시에 .. 2021. 12. 2.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