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평가 및 개선3 평가 및 개선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을 위한 7가지 핵심요소 중 평가 및 개선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7 가지 핵심요소; 1. 경영자 리더십 2. 근로자의 참여 3. 위험요인 파악 4. 위험요인 제거 · 대체 및 통제 5. 비상조치 계획 수립 6. 도급 · 용역 ·위탁 시 안전보건 확보 7. 평가 및 개선 평가 및 개선 안전보건관리체계 이행 현황을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문제점을 파악·개선하여 안전보건관리체계를 지속적으로 개선한다 . 안전보건 목표를 설정하고 관리 - 설정한 목표에 대한 평가 결과가 양호함에도 산업재해 발생건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목표가 올바르게 설정되었는지 점검하여 개선 ‘안전보건관리체계’가 제대로 운영되는지 확인 - 현장에서 계획대로 이행되고 있는지 정기적 점검 .. 2023. 9. 15. 소규모 사업장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이행이란 일하는 사람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사업장 스스로 위험 요인을 파악해 제거·대체 및 통제 방안을 마련·이행하며, 이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일련의 활동을 말한다. 소규모 사업장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중대재해처벌법」 제정으로 안전보건관리체계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기업의 특성에 맞는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이행해 산업재해를 예방하는 게 중요하고, 안전보건 활동의 동기, 책임, 평가, 목표에 대한 패러다임도 다음과 같이 변화되었다.. ● 전통적 안전보건 활동 ● 안전보건관리체계 소규모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7가지 핵심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위험요인 파악 ❶ 위험요인에 따른 정보를 수집하고 정리한다. 위험요인을 파악하는 절차를 마련하고, 확인·개선.. 2023. 9. 2.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핵심요소 7/7 중대재해처벌법 관련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7가지 핵심요소 중 평가 및 개선에 관해 공유하고자 한다. 안전보건관리체계 핵심요소 7(평가 및 개선) 중대재해처벌법에 명시된 정기점검의무 중대재해처벌법에 명시되어 있는 정기점검의무 : 반기 1회 이상 ➊ 유해·위험요인 개선 업무절차에 따라 유해·위험요인의 확인 및 개선이 이뤄지는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 제4조 제3호) ➋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이 해당업무를 충실하게 수행하는지 평가(시행령 제4조 제5호) ➌ 안전 · 보건에 관한 사항에 대하 종사자의 의견을 듣는 절차를 마련하고 해당 절차에 따라 의견청취 및 개선방안을 마련하는지 점검(시행령 제4조 제7호) ➍ 중대재해, 급박한 위험에 대비한 매뉴얼을 마련하고 이에 따라 조치가 이뤄지는지 점검(시행령 제4.. 2022. 2. 15.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