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질식3 밀폐공간 지정 사유 사람의 신체 조직은 공기 중 산소를 필요로 하며, 숨을 쉬어 공기 중 산소를 체내로 가져오게 되는데 숨을 쉬지 못한다면 체내로 산소를 가져오지 못해 결국 죽음에 이르게 된다. 이를 ‘질식’이라고 한다. 밀폐공간 지정 사유밀폐공간 유형사업장 내 질식들 일으킬 수 있는 장소는 기본적으로 환기가 부족하고, 산소부족이나 유해가스, 즉 '위험한 공기’가 있을 가능성이 높은 장소이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는 질식을 일으킬 수 있는 장소를 ‘밀폐공간’이라고 하면서 18가지 밀폐공간 유형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18] 의 밀폐공간(제618조제1호 관련)1. 다음의 지층에 접하거나 통하는 우물·수직갱·터널·잠함·피트 또는 그밖에 이와 유사한 것의 내부가. 상.. 2024. 9. 23. 재해유형별 예방조치 방법 ·위험성평가 시 위험성이 큰 요인에 대해 허용 가능한 수준 이하로 관리를 하여야 한다. 이에 따른 재해유형별 예방조치 방법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재해유형별 예방조치 방법 떨어짐 ● 위험요인: 추락 위험이 있는 모든 장소 * 사람이 인력(중력)에 의하여 건축물, 구조물, 가설물, 수목, 사다리 등의 높은 장소에서 떨어질 수 있는 모든 경우를 고려 ● 예방 방안: 가능한 근로자의 이동 및 작업 동선에 대한 분석이 우선 이뤄져야 하고, 위험성의 수준을 판단한 후 교육·주의 등 비재정적인 방법을 포함하여 가능한 방법을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합리적으로 요구되는 수준으로 관리되어야 함 ① 제거·대체 - 설계·시공 시 개구부 최소화, 작업계획 수립단계에서 위험성평가 실시를 통한 추락 위험장소 최소화 ※ 설계안전보건.. 2023. 6. 13. 위험한 공기와 질식재해 사람은 숨을 쉬지 못하면 죽는다. 신체 조직은 공기 중 산소를 필요로 하며, 숨을 쉬어 공기 중 산소를 체내로 가져오게 되는데 숨을 쉬지 못한다면 체내로 산소를 가져오지 못해 결국 죽음에 이르게 된다. 이를 ‘질식’이라고 한다. 위험한 공기와 질식재해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18조」에서는 산소결핍, 유해가스로 인한 질식·화재·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 장소를 ‘밀폐공간’이라 정의한다. 별표18에서는 이러한 밀폐공간을 18가지로 규정하고 있다. 위 정의와 같이 밀폐공간이 위험한 이유는 산소가 부족 하거나 유해가스가 발생할 만한 조건이 있기 때문이다. 먼저 저장용기나 물질이 산화하는 과정에서 산소 부족이 일어날 수 있다. 밀폐공간은 사방이 완전히 막힌 장소만이 아니라 한쪽 면이 열려 있더라도 환기가 .. 2021. 6. 10.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