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유해인자3

작업장 화학물질의 평가 취급·사용하는 화학물질에 대한 위험성을 평가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화학물질의 사용에 대한 다양한 특성(빈도·기간·방법·노출경로 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작업장 화학물질의 평가 작업장에는 각종 유해인자가 있다. 독성은 근로자가 유해인자에 노출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결과 내지는 유해인자가 가지고 있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을 모두 고려하여서 위해성을 평가하여야 한다. ① 유해인자가 가지고 있는 유해성 : 독성학적·역학적·의학적 내용 등을 총괄적으로 평가 ② 시간적 빈도와 기간 : 간헐적 작업, 근무 외 시간의 작업, 다른 계절 및 기후조건 등 ③ 공간적 분포 : 유해인자의 농도나 강도, 생산 공정뿐만 아니라 창고나 다른 용도의 부대공간에서의 활동 등 ④ 노출대상의 특성 : 민감도, 교.. 2021. 12. 17.
유해인자의 유해성ㆍ위험성 분류 산안법 신규 개정된 MSDS 제출 대상물질은 화학물질 중 산안법 제104조에 따른 분류기준에 해당하는 물질(근로자에게 건강장해를 일으키는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 등)로 한정하고 있다. - 다만 동법 시행령 제86조에 따른 물질은 제외 이와 관련되어 유해인자 중 물리적 인자는 제외하고 MSDS 제출 대상이 되는 화학물질에 대해서만 검토하고자 한다. 유해인자의 유해성ㆍ위험성 분류 법적 근거 산업안전보건법 제104조(유해인자의 분류기준) 고용노동부장관은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근로자에게 건강장해를 일으키는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 등( “유해인자”)의 유해성ㆍ위험성 분류기준을 마련하여야 한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41조(유해인자의 분류기준) 산안법 제104조에 따른 근로자에게 건강장해를 일.. 2021. 3. 21.
노출기준(OEL) vs. 허용기준(TLV)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근로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노출기준 및 허용기준에 대하여 엄격히 규제를 하고 있다. 그런데 타법에서의 허용기준에 대해서는 또 다른 의미로 해석하는 경우가 있어 금번 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노출기준(OEL) vs. 허용기준(TLV) 노출기준은 인체에 유해한 가스, 증기, 미스트, 흄이나 분진과 소음 및 고온 등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유해인자)로부터 근로자의 건강보호를 위한 기준이고, 허용기준은 그 중에서도 발암성 물질 등 근로자에게 중대한 건강장해를 유발할 우려가 있는 물질을 대상 으로 허용기준 설정하여 규제를 하고있다. 노출기준 및 허용기준에 대해서 각국에서는 다음과 같은 용어로 사용하고 있다.우리나라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노출기준 및 허용기준에 대해서는 다.. 2021. 1. 1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