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7 가지 핵심요소3

평가 및 개선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을 위한 7가지 핵심요소 중 평가 및 개선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7 가지 핵심요소; 1. 경영자 리더십 2. 근로자의 참여 3. 위험요인 파악 4. 위험요인 제거 · 대체 및 통제 5. 비상조치 계획 수립 6. 도급 · 용역 ·위탁 시 안전보건 확보 7. 평가 및 개선 평가 및 개선 안전보건관리체계 이행 현황을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문제점을 파악·개선하여 안전보건관리체계를 지속적으로 개선한다 . 안전보건 목표를 설정하고 관리 - 설정한 목표에 대한 평가 결과가 양호함에도 산업재해 발생건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목표가 올바르게 설정되었는지 점검하여 개선 ‘안전보건관리체계’가 제대로 운영되는지 확인 - 현장에서 계획대로 이행되고 있는지 정기적 점검 .. 2023. 9. 15.
도급·용역·위탁 시 안전보건 확보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을 위한 7가지 핵심요소 중 도급·용역·위탁 시 안전보건 확보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7 가지 핵심요소; 1. 경영자 리더십 2. 근로자의 참여 3. 위험요인 파악 4. 위험요인 제거 · 대체 및 통제 5. 비상조치 계획 수립 6. 도급 · 용역 ·위탁 시 안전보건 확보 7. 평가 및 개선 도급·용역·위탁 시 안전보건 확보 안전보건관리체계는 소속 근로자뿐만 아니라, 사업장 내 모든 구성원을 대상으로 구축하고 이행해야 한다 . 산업재해 예방 능력을 갖춘 사업주 선정 - 안전보건 수준을 평가하여 안전보건 확보가 어려워 보이는 경우 계약하지 않음 - 계약서에 사업장 '안전보건 확보에 필요한 조건' 명시 • 불이행의 경우에 대한 조치방안도 미리 마련 *.. 2023. 9. 15.
위험요인 제거 · 대체 및 통제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을 위한 7가지 핵심요소 중 위험요인 제거 · 대체 및 통제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7 가지 핵심요소; 1. 경영자 리더십 2. 근로자의 참여 3. 위험요인 파악 4. 위험요인 제거 · 대체 및 통제 5. 비상조치 계획 수립 6. 도급 · 용역 ·위탁 시 안전보건 확보 7. 평가 및 개선 위험요인 제거 · 대체 및 통제 위험요인을 제거 · 대체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때 ‘사람은 실수하고 기계는 고장날 수 있다는 점 을 특히 유의해야 한다 . 위험요인별 위험성 평가 - ‘발생가능성’과 ‘중대성’을 예측하여 위험요인별 우선순위 결정 위험요인별 제거 · 대체 및 통제방안 검토 - 제거 ⇒ 대체 ⇒ 통제 순으로 제어 검토 , 요인별로 복수.. 2023. 9. 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