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전관리자5 안전관리자와 안전보건조정자 현장 실무경험을 갖춘 안전관리자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개정안을 심의․의결했다. 안전관리자와 안전보건조정자 안전관리자는 안전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위험성평가, 안전인증대상기계 등 구입 시 적격품 선정, 사업장 순회점검 등)에 관하여 사업주 또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보좌하고, 관리감독자나 안전담당자에 대해 지도와 조언을 하는 사람이다. 안전보건조정자는 다수의 공종(건축, 토목, 전기 등)을 복수의 건설업체가 동시에 진행하는 경우 작업의 혼재로 인한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건설공사발주자가 선임하고 두어야 한다. 관련 법규 산업안전보건법 제17조(안전관리자) ① 사업주는 사업장에 제15조제1항 각 호의 사항 중 안전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에 관하여 사업주 .. 2024. 3. 19.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대한 행정해석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대한 행정해석을 정리한 산업안전보건법 질의회시집에서 산업안전보건법령과 관련된 업무 수행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그 중 산업안전보건관리체제에 대한 질의와 답변을 몇 가지 알아보고자 한다.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대한 행정해석 1. 안전보건관리책임자로 안전보건담당이사 가능 여부 Q. 하나의 사업장으로 이루어진 사업이 「산업안전보건법」 상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안전보건총괄책임자를 두어야 하는 사업장에 해당될 때 중대재해처벌법상 경영책임자 등에 해당하는 안전보건담당이사를 안전보건관리책임자로 선임할 수 있나요? A.「산업안전보건법」제15조에서 사업주는 사업장을 실질적으로 총괄해 관리하는 사람에게 ‘안전보건관리책임자’로서 해당 사업장의 산업재해 예방계획 수립 등 일정한 업무를 총괄해 관리하도록 해야 한다.. 2022. 7. 11. 안전관리자 업무 및 선임 등 “안전관리자”란 안전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에 관하여 사업주 또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보좌하고 관리감독자에게 지도ㆍ조언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을 말한다. 안전관리자 업무 및 선임 등 안전관리자의 업무 등 안전관리자의 업무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법 제24조제1항에 따른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이하 “산업안전보건위원회”라 한다) 또는 법 제75조제1항에 따른 안전 및 보건에 관한 노사협의체(이하 “노사협의체”라 한다)에서 심의ㆍ의결한 업무와 해당 사업장의 법 제25조제1항에 따른 안전보건관리규정(이하 “안전보건관리규정”이라 한다) 및 취업규칙에서 정한 업무 2. 법 제36조에 따른 위험성평가에 관한 보좌 및 지도ㆍ조언 3. 법 제84조제1항에 따른 안전인증대상기계등(이하 “안전인증대상기계등”이라 한다)과 .. 2021. 11. 4. 산안법 안전보건관리 조직 등 사업주는 사업장의 안전 및 보건을 유지하기 위하여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관리조직과 그 직무에 관한 사항 등이 포함된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 한다. 산안법 안전보건관리 조직 등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를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행하기 위해서 직위에 맞는 안전보건관리체계에 따라서 그에 따른 업무를 구분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관리 조직 사업주 → 안전보건 관리책임자/ 안전보건총괄 책임자 → 관리감독자 → 근로자 사업주,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및 관리감독자 안전 또는 보건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에 관하여 지도ㆍ조언 :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산업보건의,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안전관리전문기관 또는 보건관리전문기관 산업안전보건관리 체계도 안전보건관리책임자(법 15조) - 사업장을 실질적으로 총괄하여 관리하는 사람.. 2021. 8. 21.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